2.1.부터 휴게시설 설치비용 지원사업 시행 안내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85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2.1.부터 휴게시설 설치비용 지원사업 시행 안내


 - 개별 휴게시설은 최대 3천만원, 공동휴게시설은 최대 1억원까지 지원 -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사장 안종주)은 2.1.()부터 소규모 사업장의 휴게 환경 개선을 위하여 휴게시설 설치비용을 지원한다.

   이번 휴게시설 설치비용 지원사업은 지난해 8월 18일부터 모든 사업장에 휴게시설 설치가 의무화됨(산업안전보건법 제128조의2 시행)에 따라 올해 신설되었다.

   휴게시설 설치비용 지원 대상은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장(건설업은 제외)이며휴게시설 미설치 시 제재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20인 미만 사업장도 지원 대상에 포함하여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휴게시설 설치도 지원할 계획이다아울러 산업단지나 지식산업센터 등에 입주해 있는 사업장이 공동으로 휴게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지원 대상이 된다.


<1> 개별 사업장 휴게시설 지원

   사업장 내에 휴게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휴게시설 설치?관리 기준을 미준수하고 있는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장 또는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라 주된 업종별 평균 매출액 등의 소기업 규모 기준에 해당하는 사업장에 대하여 사업주당 최대 3천만원을 지원한다.

   20인 미만이거나 청소?경비원 등 7개 취약직종이 근무하고 있는 사업장에는 휴게시설 설치에 들어간 비용의 최대 70%까지 지원하는 등 사업장 규모 및 근로자가 수행하는 작업의 유형 등에 따라 차등 지원한다.


<차등지원 비율 및 대상>

지원비율

대상 사업장

70%

(자부담 30%)

ㅇ 상시근로자 20인 미만이거나 7* 취약직종이 근무하는 사업장

 ①전화상담원②텔레마케터③돌봄서비스 종사원④배달원⑤청소원 및 환경미화원⑥건물경비원⑦아파트경비원

ㅇ 고열?한랭?다습작업폭염?한파에 노출되는 옥외작업이 있는 사업장

ㅇ 야간작업을 포함한 교대작업이 있는 사업장

50%

(자부담 50%)

ㅇ 상기 조건 외 지원대상이 되는 사업장 

ㅇ 냉난방기쇼파(의자), 탁자조명 등 개별 비품만 신청한 사업장


<2> 공동휴게시설 지원

   개별 사업장 내 공간 부족 등으로 인해 단독으로 휴게시설 설치가 어려운 50인 미만 사업장이 공동으로 휴게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지원한다.

   산업단지 또는 지식산업센터 내 다수 입주기업이나 대형유통센터(아웃렛, 마트백화점면세점 등내 다수 입점 업체가 공동으로 휴게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 설치비용의 70% 한도로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한다.


<3> 휴게시설 지원 품목

   사업장의 건축물 내부에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휴게시설 설치를 위한 인테리어나 리모델링 비용건축물 내부에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컨테이너 하우스 또는 조립식 휴게시설 구입 비용을 지원한다.

   또한, 휴게시설이 실질적인 근로자들의 휴게공간으로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냉·난방시설, 의자·쇼파, 탁자 등의 구입 비용도 지원한다.


   김철희 산업안전보건정책관은 “지난해 8월 18일부터 휴게시설 설치 의무화 제도 시행 이후 대학 및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휴게시설 점검 결과전체 279개 사업장의 44.4%에 해당하는 124개소에서 휴게시설 설치 관련 규정 위반이 확인되어 시정조치한 바 있다.”라고 하면서,

    “재정적인 어려움 등으로 휴게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소규모 사업장은 휴게시설이 설치될 수 있도록 금년도 한시적으로 시행하는 휴게시설 설치비용 지원사업을 적극 활용하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휴게시설 설치비용을 지원받기 원하는 사업장은 2월 1일부터 가까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광역본부·지역본부·지사에 근로자 휴게시설 설치 비용지원 신청서를 접수(방문 또는 우편)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누리집(www.kosha.or.kr)에서 확인하거나 일선기관으로 문의하면 된다.




(고용노동부, 2023.02.0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0168&pageIndex=27&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2-01&endDate=2023-02-28&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75 환경데이터 공모전 개최…창업 기회 넓힌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90
274 미국 에너지부와 원전 협력, 청정에너지 공조 강화에 합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67
273 재택근무로 업무효율도, 직원만족도 동시에 잡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36
272 그린수소, 바다·호수에서 대량 생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96
271 2022 환경백서 발간…환경정책 성과 종합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73
270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국내외 전문가 머리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22
269 중소기업에도 녹색투자 길 열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34
268 엘지유플러스(LGU+) 침해사고 관련 재발방지 대책 마련 및 시정조치 요구 비회원 2023-05-24 829
267 생물표본 관리 역량 강화…담당자 한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92
266 고용노동부, “노동개혁정책관” 신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19
265 국내 청정수소 생산 기반시설(인프라)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69
264 여성 특성화고·여대의 창·취업을 위해 선배 여성 최고경영자(CEO)가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39
263 ‘과기정통부, 제로 트러스트 신보안체계 도입 본격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93
262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법안 최종 승인, 전환기간을 거쳐 ‘26년부터 시행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7
261 한미 양국 첨단산업, 소형모듈원전(SMR)·청정수소 등 양해각서(MOU) 23건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20
260 규제심판부, “친환경 신(新)모빌리티인 화물용 전기자전거 도입” 권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73
259 재생에너지 풍부한 칠레와 ‘그린수소’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33
258 사회적경제기업 지속가능한 성장지원에 앞장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63
257 ’22년 한국남동발전(주), 인천항만공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27개 공공기관이 동반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46
256 청렴하고 적극적인 공직사회 조성을 위해 감사인 역량을 모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