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차 한-싱가포르 기후변화 양자대화 개최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66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2
IMG-9481.JPG(1.7 MB) 2023-05-22

□ 제8차 한-싱가포르 기후변화 양자대화가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와 베네딕트 치아(Benedict Chia) 싱가포르 총리실 국가기후변화전략그룹 국장 및 조셉 테오(Joseph Teo) 싱가포르 지속가능환경부 기후변화협상 총괄대표(싱측은 공동 수석대표)를 수석대표로 2023.2.14.(화)~16.(목) 간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되었다.


  ⊙ 우리측은 외교부, 환경부, 산업부 및 탄소시장·과학기술 분야별 전문가, 싱가포르측은 지속가능환경부, 총리실, 무역산업부, 주한싱가포르대사관 참석

     ※ 한-싱가포르 기후변화 양자대화는 ’14.9. 서울에서 제1차 회의가 개최된 이래 금년 제8차 회의 개최

 

□ 이번 회의에서 양측은 작년 11월,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서 타결된 샤름엘셰이크 이행 계획(Sharm El-Sheikh Implementation Plan)의 후속조치를 점검하고, 올해 11.30.~12.12. UAE(두바이)에서 개최 예정인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는 감축, 기후재원, 손실 및 피해뿐만 아니라, 파리협정 타결 이후 처음으로 진행될 예정인 제1차 전지구적 이행점검(GST, Global Stocktake) 관련 양국 간 입장을 교환하고 협상 공조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아울러, 양측은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포함한 제1차 국가공약(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이행 관련 최신 동향을 공유하였다.

  ⊙ 우리측은 글로벌중추국가로서 금년부터 중점 추진해 나갈 예정인 인태전략(Indo-Pacific Strategy), 원자력을 포함한 청정에너지 확대 계획,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추진전략 등을 설명하고, 싱가포르측은 지난 5년간 탄소세 도입 경과, 자발적 탄소시장의 활용,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관련 국제협력 현황 등을 설명하였다.

 

□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실질적인 탄소중립 실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최초로 민관합동세션을 개최하였다. 동 세션에는 (주)SK이노베이션, (주)에코아이, (주)두산퓨얼셀, 한국CCUS추진단, 서울대학교(원자핵공학과)에서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자발적 탄소시장, 해외 온실가스 감축사업 등 국제 탄소시장뿐만 아니라, 수소 연료전지(fuel cell), 탄소포집활용저장, 소형원자로(SMR, Small Modular Reactor) 등에 대해 설명하고, 탈탄소 청정에너지 전환을 위한 양국 간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였다.

 

□ 양측은 앞으로도 유엔기후변화 협상에서 긴밀히 공조해 나갈 뿐만 아니라, 국제감축사업 등 탄소시장, 수소, 탄소포집활용저장을 양국 간 3대 중점 협력 분야로 설정하고, 연내 협력 이행 체계를 구축하는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기로 하였다. 





(외교부, 2023.02.1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3086&pageIndex=1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2-01&endDate=2023-02-28&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65 환경위성 관측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2
364 해양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글로벌 리더들이 부산에 모였다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계기 리더스서밋 개최(5…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7
363 「2023 고용평등 공헌포상」 시상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2
362 공공부문 저공해차 구매·임차, 2022년 구매실적 및 2023년 구매계획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39
361 식품매장 냉장고 문달기로 에너지효율, 전기요금 동시에 잡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88
360 납품대금연동제 현장안착 촉진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44
359 K-수소전기트램, 해외수출을 위한 국내실증 본격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1
358 수소산업! 규제혁신으로 키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4
357 무탄소에너지(CFE) 논의는 RE100과 보완적 관계, 국제적 흐름에 맞춰 추진될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4
356 한국-독일 민·관, 에너지 정책 교류 위해 한 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2
355 상생으로 동반성장에 앞장선 유공자를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86
354 부산에서 세계 기후?에너지산업의 미래를 논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7
353 기후위기, 과학기술로 해결책을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86
352 국제감축을 위한 체계적 지원 확대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6
351 한·일 에너지 협력 만 5년 만에 다시 한 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17
350 원전으로 청정수소 활용 앞당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0
349 기후에너지 별들의 경쟁, 국내 최대규모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2
348 제6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18
347 녹색산업 해외발주처-국내기업 교류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58
346 기후에너지 별들의 경쟁, 국내 최대규모 개최 - 한덕수 총리,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참석(5.25~…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