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설비 밀집지역 계통안정화 추진현황 점검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78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2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장관 : 이창양)는 3월 3일(금) 오후 4시 30분에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공기업?공공기관, 민간전문가 등이 참석하는 ?재생에너지-전력계통 T/F? 제4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오늘 회의에서는 지난 제3차 회의(’23.1.27.)에서 발표한 ‘경부하기 태양광 설비 밀집 지역에 대한 계통 안정화 방안’의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재생에너지의 지속적인 확대가 전망되는 만큼 이를 적기에 수용하기 위한 정책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회의 개요>

◇ 일시/장소 : ‘23. 3. 3.(금) 17:00~18:00 / 석탄회관 4층 대회의실
◇ 참석자 : 총 11명
-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주재), 재생에너지정책관, 장관정책보좌관, 전력계통혁신과장
- (공기업?공공기관) 한국전력공사(한전), 전력거래소(거래소), 한국에너지공단(에공단)
- (민간전문가) 이병준 고려대 교수, 박종배 건국대 교수, 김승완 충남대 교수, 이태의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
◇ 주요내용 : 태양광 인버터 성능개선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 태양광 밀집지역 전력설비 점검 실적, 봄철 태양광 설비 밀집지역 계통운영 방안 등

?

우선 계통 안정화 방안의 핵심인 태양광 인버터 성능개선의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에 대하여 점검하였다. 산업부와 한전?거래소?에공단 등 유관기관은 육지 태양광 설비 밀집 지역(전북?전남?광주?경남 일대)의 태양광 인버터가 지속운전성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2월 6일부터 발전사업자를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안내해왔다.
* 전력설비 고장으로 발생하는 저주파수, 저전압에도 불구하고 태양광 설비가 일정시간 계통에서 탈락하지 않음으로써 계통 불안정의 연쇄적인 파급을 방지하는 인버터 성능

약 1달여간 공공기관 보유 태양광 발전설비 및 500kW 이상 민간 태양광 발전설비의 인버터 성능개선을 중점 추진하여 봄철 경부하기를 대비하는 3월 말까지의 목표 물량(1,345MW) 중 약 50%(661MW)에 대해 인버터 성능구비를 완료하였으며, 남은 기간 동안 목표를 100% 달성할 수 있도록 태양광 인버터 성능구비를 지속 독려할 계획이다.

?

이와 별도로 한전은 태양광 설비 밀집지역 중심으로 주요 송?변전설비*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특별관리 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였다. 송?변전설비에 대한 사전점검을 월 1회에서 주 2회로 강화하여 2월 28일까지 완료하였으며, 태양광 이용률이 높은 시간대의 송?변전설비 조작을 제한해오고 있다.
* 345kV 변전소 11개, 345kV 송전선로 53회선

?

회의를 주재한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설비가 급증하면서 발생하는 계통 불안정성은 다른 국가들도 경험하는 공통적인 과정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발전도 다른 발전원과 마찬가지로 전력계통 안정화에 대한 책임을 가져야 한다” 면서, “태양광 인버터 성능개선 등을 지속 추진하면서, ESS 활용, 양수발전 운전, 출력제어 등 계통안정성 제고 방안을 검토하여「태양광 설비 밀집지역 봄철 계통운영방안」을 3월 중에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

(산업통상자원부, 2023.03.0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5607&pageIndex=7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1-01&endDate=2023-05-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69 국민과 미래세대를 위해 미룰 수도, 미뤄서도 안되는 노동개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92
368 고용노동부, 기업의 근로시간면제제도 운영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2
367 안전을 보는 눈, 위험성평가 현장을 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1
366 기업 환경정보, 환경정보공개시스템에서 미리 확인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5
365 환경위성 관측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6
364 해양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글로벌 리더들이 부산에 모였다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계기 리더스서밋 개최(5…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4
363 「2023 고용평등 공헌포상」 시상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6
362 공공부문 저공해차 구매·임차, 2022년 구매실적 및 2023년 구매계획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48
361 식품매장 냉장고 문달기로 에너지효율, 전기요금 동시에 잡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11
360 납품대금연동제 현장안착 촉진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0
359 K-수소전기트램, 해외수출을 위한 국내실증 본격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5
358 수소산업! 규제혁신으로 키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0
357 무탄소에너지(CFE) 논의는 RE100과 보완적 관계, 국제적 흐름에 맞춰 추진될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85
356 한국-독일 민·관, 에너지 정책 교류 위해 한 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8
355 상생으로 동반성장에 앞장선 유공자를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92
354 부산에서 세계 기후?에너지산업의 미래를 논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51
353 기후위기, 과학기술로 해결책을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91
352 국제감축을 위한 체계적 지원 확대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50
351 한·일 에너지 협력 만 5년 만에 다시 한 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22
350 원전으로 청정수소 활용 앞당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