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적 요인에 따른 산재 예방.대응을 위한 체계적 매뉴얼 첫 마련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71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5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재난 상황에 대해 본부, 소속기관 및 안전보건공단이 체계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사업주와 근로자에게 재난 상황과 안전 정보 등을 적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계절별 위험요인 산재예방 매뉴얼」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11월에 발표한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의 후속 조치 일환이다. 최근 지구온난화 등 이상기후가 속출해 건설·제조업종 및 옥외작업 종사자 등의 노동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계절적 요인에 의한 산재 발생이 늘어 계절적 위험요인별 맞춤형 예방대책이 시급하게 요구돼왔다.


 * (해빙기) ’21.3.31. 창녕군 소재 배관 설치공사 현장 굴착면 토사붕괴 매몰(사망1)
(폭염) ’22.7.4. 대전 유성구 소재 건설현장에서 열사병으로 쓰러짐(사망1)
(태풍) ’22.9.6. 태풍 ‘힌남노’로 포항시 소재 제철소 인근 하천 범람(근로자29 고립)
(한파) ’22.12.12. 예산시 소재 논밭에서 장시간 측량 근로자 발가락 동창(재해1)


미세먼지(비상저감조치)

해빙기(제조·건설현장)

장마철, 폭염(물·그늘·휴식)

태풍ㆍ호우

(침수피해 등)

동절기(제조·건설현장)

한파(온열관리)

대설(안전사고 및 붕괴)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 계절 · 시기별 중대재해 발생 경보 발령, 사고사례, 예방~복구 안전수칙 리플릿 등 배포

 

  그간 계절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산재 예방을 위해 고용노동부는 계절에 따른 산재 발생 유형과 대응 방법, 주요 예방대책 을 담은 ‘안전보건 길잡이’를 그때그때 만들어 배포해 왔다. 이번 매뉴얼은 재난 발생 단계별 각 주체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다양한 소통망을 통해 재난 위험과 대응조치를 사업주와 근로자들에게 신속히 알리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에 따라, 앞으로 각 사업장에서 고용노동부에서 운영 중인 ‘중대재해 사이렌’ 및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재난위기경보 발령과 그에 따른 대응조치를 빠르고 편리하게 받아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류경희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본 매뉴얼은 계절적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로부터 근로자의 안전과 생명을 선제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처음으로 마련된 것”이라며,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본부-지방관서-안전보건공단은 본 매뉴얼을 적극 활용하여 사업주와 근로자들이 재난에 따른 안전조치를 잘 수행하도록 돕겠다.”라고 전했다.






(고용노동부, 2023.05.02)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65741&pageIndex=2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5-01&endDate=2023-05-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475 해양생태계 통합 관리 위한 '5대 해양생태축 관리계획' 수립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19
474 제품 사고조사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국민 안전을 지킨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72
473 청정수소 인증제, 민관이 머리 맞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54
472 대학과 함께, 에너지 인재 2만 명 육성 본격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18
471 산업단지 내 신재생 발전 기반시설(인프라) 구축으로 수출기업 ‘RE100’ 고민 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35
470 캠핑카 오·폐수, 주유소에서 깨끗하게 처리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00
469 2023년 환경 데이터 활용 및 분석 공모전, 수상작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43
468 공공부문의 잘못된 노사관행 바로잡을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50
467 환경부, 중소기업중앙회와 환경정책 개선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69
466 탄소흡수능력 측정 고도화 기술개발 착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60
465 2023년 환경진단(컨설팅) 연찬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16
464 중소기업 녹색투자 이자부담 줄어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86
463 23년 하반기 수소 수급 상황은 ‘양호’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50
462 규제혁신으로 주유소의 친환경 전환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85
461 에너지·자원 기업의 통상 대응 역량 강화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74
460 무더위 속 산업현장, 안전문화로 시원하게!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70
459 고용노동부, 중앙부처 최초로 청렴학교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84
458 국내 바이오항공유, 바이오선박유 상용화 첫걸음, 민-관이 함께 내딛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35
457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동반성장을 위해 카리브 국가와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94
456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23개 기관과 손잡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