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탄소중립 전환 융자지원 접수 결과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62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는 「2023년도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 사업」(이하, “융자사업”) 신청접수를 4월 28일(금) 마감했다. 53개 기업이 3년간(‘23년~’25년) 총 1조 3,866억 원 규모의 탄소중립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융자 7,303억 원, 이차보전 282억 원 지원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미래 기술·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장기?대규모 시설 및 연구개발 투자 프로젝트

 

‘23년도 지원 경쟁률은 신청금액 기준으로 융자 13.5:1, 이차보전 3.5:1로 나타났다. 이는 융자지원만 공모했던 ’22년도 경쟁률 4.9:1 대비 3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이번에 신청한 기업의 탄소중립 시설과 연구개발 투자계획을 분석해보면, 우리 산업계가 중소·중견기업 중심으로 다양한 선도프로젝트 분야에 지속적인 탄소중립 투자를 이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업 유형별로는 중소·중견기업이 참여 수가 86.8%(46개사), 투자 규모는 69.5%(9,656억 원)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중견기업의 전년 대비 참여 수는 2배(‘22년 3개사 → ’23년 6개사), 투자 규모는 5배(‘22년 864억 원 → ’23년 4,398 억 원) 증가했다.


<‘23년 선도프로젝트 신청기업 유형별 투자 규모>

(단위: 개사, 억원)

구분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합계

신청기업 수

7(13.2%)

6(11.3%)

40(75.5%)

53 (100.0%)

투자

규모

시설

4,071(32.0%)

4,398(34.5%)

4,270 (33.5%)

12,739 (100.0%)

R&D

161(14.3%)

- (-)

966 (85.7%)

1,127 (100.0%)

합계

4,232(30.5%)

4,398(31.7%)

5,236(37.8%)

13,866 (100.0%)

 

프로젝트 유형별로는 자원순환, 건물(기타) 분야의 신청수요가 각 5건으로 가장 많았다. 친환경 자동차, 이차전지, 제로에너지건물 분야가 각 4건, CO2 포집, 에너지 효율 향상 분야 각 3건, 철강, 석유화학, 차세대 태양광 및 풍력, 정유, 에너지 저장, 자동차, 조선 분야 각 2건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가 접수되었다.

’22년 신청수요와 비교하면 친환경 자동차와 제로에너지 건물 분야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22년 각 1건 → ‘23년 각 4건) 철강, 정유, 석유화학, 시멘트 등 탄소 다배출 업종의 온실가스 감축 투자 프로젝트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22년 총 8건 → ‘23년 총 7건)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 사업의 전담기관인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접수된 53개 프로젝트에 대해 신청 적격성 등 적합성 검토를 진행 중이다. 이를 통과한 프로젝트는 정책 부합성, 기술 역량, 시장 잠재력, 경영 역량에 대해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5월 중 기술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는 융자사업의 온실가스 감축 성과를 높이기 위해 감축효과(감축량) 평가지표 배점을 상향했다. 또, 평가에 검증기관을 참여시켜 객관성을 높이고, 우수성이 입증된 프로젝트가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산업부는 “융자사업이 우리 산업계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핵심 금융지원사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향후에도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05.0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65914&pageIndex=2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5-01&endDate=2023-05-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475 해양생태계 통합 관리 위한 '5대 해양생태축 관리계획' 수립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19
474 제품 사고조사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국민 안전을 지킨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72
473 청정수소 인증제, 민관이 머리 맞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54
472 대학과 함께, 에너지 인재 2만 명 육성 본격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18
471 산업단지 내 신재생 발전 기반시설(인프라) 구축으로 수출기업 ‘RE100’ 고민 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35
470 캠핑카 오·폐수, 주유소에서 깨끗하게 처리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00
469 2023년 환경 데이터 활용 및 분석 공모전, 수상작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43
468 공공부문의 잘못된 노사관행 바로잡을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50
467 환경부, 중소기업중앙회와 환경정책 개선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69
466 탄소흡수능력 측정 고도화 기술개발 착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60
465 2023년 환경진단(컨설팅) 연찬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16
464 중소기업 녹색투자 이자부담 줄어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86
463 23년 하반기 수소 수급 상황은 ‘양호’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50
462 규제혁신으로 주유소의 친환경 전환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85
461 에너지·자원 기업의 통상 대응 역량 강화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74
460 무더위 속 산업현장, 안전문화로 시원하게!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70
459 고용노동부, 중앙부처 최초로 청렴학교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84
458 국내 바이오항공유, 바이오선박유 상용화 첫걸음, 민-관이 함께 내딛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35
457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동반성장을 위해 카리브 국가와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94
456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23개 기관과 손잡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