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저공해차 구매·임차, 2022년 구매실적 및 2023년 구매계획 공개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67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6-07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공공부문의 저공해자동차* 환경친화적자동차**에 대한 2022년 구매실적과 2023년 구매계획을 공개했다.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1)전기·수소차(무공해차), (2)하이브리드차, (3)저공해차 배출허용기준에 맞는 액화천연가스(LPG)·휘발유차

  ** 환경친화적 자동차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기차수소차하이브리드차

 

  국가기관지자체공공기관은 ‘대기환경보전법’과 ‘친환경자동차법’에 따라 신규 차량 중 저공해차를 100%, 무공해차를 80% 이상의 비율*로 구매·임차해야 한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공공부문 의무구매·임차제를 통합 운영 중이며 재작년부터 실적을 공동으로 공표하고 있다.

  * 단순 대수 기준이 아닌 차종별 환산 비율 적용

 

  2022년 구매·임차 차량 8,072대 중 저공해차 비율은 90.2%, 무공해차 비율은 79.1%로 나타났으며특히 전기·수소차는 전년도 대비 881대가 늘어나는 등 지속적으로 무공해차 구매·임차 실적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의무구매·임차 목표를 달성한 기관 수와 비율은 각각 612, 92% 전년 대비 102, 8.3%p가 증가하였다또한 기관장 차량으로 무공해차를 운영하는 기관은 207개로 전년도 대비 87개소가 증가하였다.

 

  아울러 환경부는 2022년 의무비율을 달성하지 못한 기관을 대상으로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올해 의무구매·임차제 적용대상 769개 기관의 구매계획은 총 7,377대로 그 중 저공해차는 7,155무공해차는 6,617대이며현재 의무비율 준수기관은 687미준수기관은 82개로 나타났다정부는 구매 계획상 미준수기관을 대상으로 보완을 요청하고 의무구매·임차 비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박연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공공부문의 노력으로 의무구매·임차 실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수송부문 탄소중립에 기여하고 있다”라며2023년부터 무공해차 의무구매·임차비율이 80%에서 100%로 증가하는 만큼 앞으로도 대상 기관의 적극적인 동참을 이끌겠다”라고 밝혔다.







(환경부, 2023.05.3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2904&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5-26&endDate=2023-05-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71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위해 화학규제 혁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02
370 국민 목소리에 응답한 고용노동 규제혁신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5
369 국민과 미래세대를 위해 미룰 수도, 미뤄서도 안되는 노동개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8
368 고용노동부, 기업의 근로시간면제제도 운영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21
367 안전을 보는 눈, 위험성평가 현장을 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33
366 기업 환경정보, 환경정보공개시스템에서 미리 확인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42
365 환경위성 관측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12
364 해양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글로벌 리더들이 부산에 모였다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계기 리더스서밋 개최(5…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1
363 「2023 고용평등 공헌포상」 시상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13
362 공공부문 저공해차 구매·임차, 2022년 구매실적 및 2023년 구매계획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30
361 식품매장 냉장고 문달기로 에너지효율, 전기요금 동시에 잡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2
360 납품대금연동제 현장안착 촉진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34
359 K-수소전기트램, 해외수출을 위한 국내실증 본격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12
358 수소산업! 규제혁신으로 키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1
357 무탄소에너지(CFE) 논의는 RE100과 보완적 관계, 국제적 흐름에 맞춰 추진될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2
356 한국-독일 민·관, 에너지 정책 교류 위해 한 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4
355 상생으로 동반성장에 앞장선 유공자를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7
354 부산에서 세계 기후?에너지산업의 미래를 논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7
353 기후위기, 과학기술로 해결책을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75
352 국제감축을 위한 체계적 지원 확대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