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청사 커피전문점 "일회용컵 안씁니다"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63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6-07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본부장 조소연), 우정사업본부(본부장 손승현) 6월 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내 민원동 1층에서 ‘정부청사 커피전문점 일회용컵 줄이기 비전 선포식’을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는 청사 내에서 커피전문점을 운영하는 업체 대표*들을 비롯해 정부 및 다회용기순환시스템 도입을 지원하는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 △이성호 세종충남카톨릭사회복지회 회장, △임미화 본푸드서비스(사장△이동훈 ㈜풀무원푸드앤컬처 부사장, △김광호 한울R&S 대표이사△파스쿠찌 정부세종청사 중앙점주, △메고지고 정부세종청사점주△㈜이에이티 브레딧 정부세종청사점주

** △박종석 우체국공익재단 이사장△이승우 한국남부발전(사장△금동명 ㈜농협은행 공공금융부문 부행장△이준호 SK텔레콤 ESG담당 부사장△박대호 재단법인 행복커넥트 상임이사

  

  환경부와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이번 비전 선포식을 계기로 2027년까지 전국 13개 정부청사 내 커피전문점과 계약할 때 다회용컵 순환시스템 도입을 의무화하여 일회용컵 없는 청사를 만들 계획이다.

 

  아울러 올해 3월 16일 세종청사 내 2개 커피전문점이 다회용컵 순환시스템을 도입한 것을 계기로 환경부정부청사관리본부우정사업본부는 그동안 세종청사 내 나머지 20개 커피전문점의 협조를 얻어 6월 1일부터 다회용컵 전용매장으로 전환하는 확대 협약도 체결한다.

 

  환경부는 정부세종청사 22개 커피전문점이 다회용기로 전환하면 연간 약 180만 개의 일회용컵을 대체하게 될 것으로 예측했다.







(환경부, 2023.05.3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2908&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5-26&endDate=2023-05-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71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 위해 화학규제 혁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02
370 국민 목소리에 응답한 고용노동 규제혁신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5
369 국민과 미래세대를 위해 미룰 수도, 미뤄서도 안되는 노동개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8
368 고용노동부, 기업의 근로시간면제제도 운영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21
367 안전을 보는 눈, 위험성평가 현장을 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33
366 기업 환경정보, 환경정보공개시스템에서 미리 확인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42
365 환경위성 관측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12
364 해양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글로벌 리더들이 부산에 모였다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계기 리더스서밋 개최(5…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1
363 「2023 고용평등 공헌포상」 시상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13
362 공공부문 저공해차 구매·임차, 2022년 구매실적 및 2023년 구매계획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30
361 식품매장 냉장고 문달기로 에너지효율, 전기요금 동시에 잡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2
360 납품대금연동제 현장안착 촉진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34
359 K-수소전기트램, 해외수출을 위한 국내실증 본격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12
358 수소산업! 규제혁신으로 키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2
357 무탄소에너지(CFE) 논의는 RE100과 보완적 관계, 국제적 흐름에 맞춰 추진될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2
356 한국-독일 민·관, 에너지 정책 교류 위해 한 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4
355 상생으로 동반성장에 앞장선 유공자를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7
354 부산에서 세계 기후?에너지산업의 미래를 논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7
353 기후위기, 과학기술로 해결책을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75
352 국제감축을 위한 체계적 지원 확대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