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별 순환 경제 선도 사업(프로젝트) 추진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52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는 21일 오전 추경호 경제부총리 주재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순환 경제 활성화를 통한 산업 신성장 전략」을 공개했다.


순환 경제는 제품을 사용 후 폐기하는 기존 선형경제에 비해 자원을 지속 순환시키는 새로운 경제체제다. 제품 생산에 자원은 적게, 사용은 오래, 사용 후에는 자원을 재생하는 게 핵심이다. 이로써 탄소배출을 줄이고 자원 수급 안정화에 기여한다. 또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4.5조 달러 규모로 증가할 전망(액센츄어)으로 순환 경제는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우리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과 새로운 경쟁력 확보 지원, 핵심 자원의 국내 공급망 확보를 위해 산업 전반에 순환 경제의 빠른 확산을 추진한다. 생산공정 부산물의 활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관계부처 참여 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국내외 재생 원료 공급망 구축을 지원한다. 이번 전략에는 9대 주요 산업별 순환 경제 9대 선도 사업(프로젝트)을 정하고 추진하는 것이 특징이다. 산업부는 이를 ‘순환 경제(CE, Circular Ecomomy) 9 사업(프로젝트)’로 이름 붙였다.


<순환 경제 9 사업(프로젝트)> 
▲(석유화학) ①열분해유 생산 확대, ②고급 원료화 전환

▲(철강?비철금속) ③철스크랩 활용 극대화, ④희소금속 재자원화

▲(배터리) ⑤재사용·재활용 기반 구축, ⑥재생원료 생산·사용 촉진

▲(전자?섬유) ⑦에코디자인 도입·시행

▲(자동차?기계) ⑧재제조 제품 수출 활성화

▲(시멘트) ⑨대체 연·원료 확보


산업부는 사업(프로젝트) 추진 기반 마련을 위해 국가통합자원관리시스템(k-mfa.kr) 고도화, 자원 효율 등급제와 재생 원료 인증제 마련, 순환 경제 스타 기업 발굴 등도 함께 추진한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이번 전략이 산업 부문의 순환 경제 전환을 본격화하는 출발점이라는데 큰 의의가 있다”면서 “순환 경제 활성화를 위해 민관 모두의 관심과 협력이 필요한 만큼 소통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06.2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6175&pageIndex=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6-19&endDate=2023-06-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69 국민과 미래세대를 위해 미룰 수도, 미뤄서도 안되는 노동개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92
368 고용노동부, 기업의 근로시간면제제도 운영현황 등에 대한 실태조사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2
367 안전을 보는 눈, 위험성평가 현장을 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1
366 기업 환경정보, 환경정보공개시스템에서 미리 확인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5
365 환경위성 관측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6
364 해양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글로벌 리더들이 부산에 모였다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계기 리더스서밋 개최(5…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4
363 「2023 고용평등 공헌포상」 시상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6
362 공공부문 저공해차 구매·임차, 2022년 구매실적 및 2023년 구매계획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48
361 식품매장 냉장고 문달기로 에너지효율, 전기요금 동시에 잡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11
360 납품대금연동제 현장안착 촉진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50
359 K-수소전기트램, 해외수출을 위한 국내실증 본격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25
358 수소산업! 규제혁신으로 키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70
357 무탄소에너지(CFE) 논의는 RE100과 보완적 관계, 국제적 흐름에 맞춰 추진될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85
356 한국-독일 민·관, 에너지 정책 교류 위해 한 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68
355 상생으로 동반성장에 앞장선 유공자를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92
354 부산에서 세계 기후?에너지산업의 미래를 논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51
353 기후위기, 과학기술로 해결책을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91
352 국제감축을 위한 체계적 지원 확대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50
351 한·일 에너지 협력 만 5년 만에 다시 한 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22
350 원전으로 청정수소 활용 앞당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