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과 함께, 에너지 인재 2만 명 육성 본격화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519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0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의 에너지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잰걸음이 시작됐다. 산업부는 지난달 「에너지 인력양성 중장기 전략(총리 주재 제2차 인재양성전략회의, 5.26.)」 발표한 이후, 이번 달 말부터는 대학에 직접 가서 석·박사 학생, 교수들 대상으로 정책을 상세히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상기 전략이 ①현장 수요, ②지역 연계, ③국제적(글로벌)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2030년까지 핵심 인재 2만 명 육성을 목표로 설정했다고 하며, 7월까지 원자력, 효율 등 14대 분야에 대한 상세 이행안(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인바 학생, 교수 등 실제 정책 대상자들과의 소통의 자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이날 수도권을 시작으로 7. 6.(목) 영남권, 7. 13.(목) 충청·호남권 등에서 3차례 소통의 장을 만들어 갈 계획이며, 서울대, 경북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전국 20여 개 대학, 총 600명 이상의 학생과 교수, 전문가 등이 참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부 이원주 에너지정책관은 “지난달 발표한 에너지 인재 양성 전략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 정책 대상자분들과의 소통은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하면서, “에너지 분야 석·박사 학생들을 직접 만나는 경우가 처음인 만큼 인력양성 정책 홍보와 의견 수렴에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산업부는 에너지 분야의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해 에너지융복합대학원(현 16개), 에너지 혁신센터(현 10개) 지정 및 운영, 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 등에 매년 500억 원 이상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06.2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7904&pageIndex=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6-26&endDate=2023-06-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445 화학물질 규제 정보를 한눈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40
444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41
443 국내기업, 오만에 그린수소 생산기지 짓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95
442 산업재해 고위험요인(SIF) 분석정보 제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36
441 수소 터빈 기술로 온실가스 감축 실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12
440 해운물류 업계 디지털, 친환경 경쟁력 강화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00
439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52
438 해양쓰레기, 플라스틱 등을 새활용(업사이클링)한 발명품 공모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83
437 산업별 순환 경제 선도 사업(프로젝트)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22
436 대·중소기업 모여 순환 경제 신사업 함께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27
435 산업 분야 순환경제 역량 강화를 위해순환자원 지정 확대, 9대 선도프로젝트 등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91
434 환경부, 순환경제의 산업계 확산에 본격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55
433 탄소국경조정제도 이행법안에 대한 산업계 의견수렴 진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82
432 환경부,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제도 이행법률 초안에 대한 산업계 의견 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66
431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32
430 고농도 오존 관리 해법 모색을 위한 전문가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68
429 청년의 목소리에서 이중구조 해법을 찾다 비회원 2023-06-26 527
428 공급망 대응 전초기지, 「공급망센터」 개소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6 577
427 로봇 산업, 국제 표준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6 604
426 한-일 수소 안전 및 산업 정책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6-26 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