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사회 등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외국인 인력 유치방안 모색

담당부서 : 기획재정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79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19

방기선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3.7.7() 15:00 여의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금융전문대학원에서 외국인 인력 정책 전문가 간담회(23년도 제2차 미래전략토론회)를 개최하였다.

 

  * (정부기획재정부 1차관, 미래전략과장, 인구경제과장, 고용부 국제협력관,
법무부 출입국·이민관리체계개선추진단장

 

    (민간최슬기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이규용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류석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교수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최서리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엄진영 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김유휘 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알비올 안드레스 철도기관사

 

  오늘 간담회에서는 「외국인력·이민정책 필요성 및 예상 문제점?(최슬기 한국개발연구원 교수) 외국인력 유입촉진 및 정주여건 개선 방안(이규용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대한 발제에 이어, 학계·연구소·산업계 전문가들의 토론이 진행되었다.

 

  방 차관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로 인해 중장기적으로 동시장의 공급제약이 심화되고 경제 전반의 성장률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라 전망하면서“제조업·농축산업 등 산업현장의 인력난 해소해외 석박사급 우수 기술인재 유치 및 가사돌봄 분야 외국인 취업 확대를 위한 외국인 정책의 개선방안과 더불어외국인 정주여건 개선과 사회통합 방안을 모색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슬기 한국개발연구원(KDI) 교수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가 지속됨에 따라 국인 인력 유치 확대가 불가피해졌으며향후 외국인 인력 유입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확대 시기·방식 등에 대한 고민이 수반될 필요가 있음을 였다이규용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민정책을 포함한 외국인 정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부처간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외국인 인력관리 지자체 역량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였다류석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교수는 우수인력을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외국인력을 유치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오늘 논의내용은 중장기위원회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함께 마련 중인 국가미래전략 관계부처 공동으로 하반기 발표 예정인 외국인 정책 기본계획에도 반영 계획이다.

 

※ (별첨) 기획재정부 1차관 모두발언

?

(기획재정부, 2023.07.07)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9497&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startDate=2023-07-01&endDate=2023-07-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505 정부는 특정 에너지원에 편중되지 않도록 균형있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할 것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46
504 국내최초 차량용 액화수소 저장시스템 실증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95
503 대한민국 가족행복의 든든한 버팀목, 아이돌봄서비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61
502 295만 여성기업 최대의 축제 ‘제2회 여성기업주간’ 개막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40
501 내실 있는 기술규제영향평가를 통한 기업부담 경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55
500 청정수소발전, 규제개선으로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77
499 신재생에너지, 강도 높은 혁신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66
498 EU 과불화화합물 사용제한은 미확정, 통상채널 가동-수급 안정조치로 기업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21
497 하반기 수출반등은 노사협력에 달려 불합리한 노사관행은 단호히 거부되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47
496 2024년 재난안전예산, 예측·예방 중심 과학적 재난안전관리에 과감히 투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1,131
495 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우수 재난안전제품 발굴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41
494 범부처 합동으로 탄소국경조정제도 이행법안 적극 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04
493 친환경선박, 국제표준부터 성적서까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57
492 민·관이 손잡고 안전제도 개선을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55
491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비율 49.4% 역대 최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32
490 주요 원자재 운송 분야 선화주 상생 촉진을 위한 우수 선화주기업 인증 대상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552
489 한미 배터리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91
488 한강수계법 등 2개 환경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62
487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와 일자리 전환의 현황 및 과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76
486 노동시장 약자 다수 고용 등 공헌한 사회적기업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