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장애인식개선교육기관 지정 계획 공고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7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01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장애인개발원(원장 이경혜)은 10월 16(2024년도 장애인식개선교육기관 지정 계획」을 공고한다.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어린이집각급 학교의 장 및 공공기관의  등은「장애인복지법」25조 등에 따라 매년 소속 직원 및 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장애인식개선교육은 우리 사회에 올바른 장애감수성을 키우는 교육으로, 단기적으로는 장애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제거하고, 장기적으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포용사회를 조성하기 위해 실시한다.

 

  보건복지부는 보다 충실한 장애인식개선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2021년부터 일정요건을 갖춘 교육기관을 ‘장애인식개선교육기관’으로 지정?운영하고 있다. 현재 전국에 총 22개 기관이 지정되어 운영 중이다.

장애인식개선교육 실시에 적합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기관

(기관의 역량기관의 사업 운영 능력조직구성의 전문성기관장 의지 등

 

(교육 운영 적정성) 계획 수립 충실성교육 운영 강사의 역량 등

 

(교육 프로그램 및 훈련기반 적정성) 교육 교재 및 교안의 적정성, 교육기관 환경의 적정성 및 훈련 노력도 등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법인?시설?단체 등은 장애인식개선교육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신청을 할 수 있으며보건복지부는 신청기관을 대상으로 기관의 교육 역량 및 교육 프로그램 등이 장애인식개선교육 실시에 적합한지 심사하게 된다.

 

 

① 장애인복지법 제58조에 따른 장애인복지시설로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사업을 수행하는 시설② 장애인복지법 제63조에 따른 장애인복지단체 ③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제3호에 따른 사회복지법인④ 정관이나 규약 등에 인식개선교육의 실시를 사업 내용으로 하고 있는 법인·비영리민간단체⑤ 그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식개선교육의 실시에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기관·법인·시설·단체

 

<장애인식개선교육기관 주요 지정 절차>

신청서 접수

서류심사 및

영상심사

지정 여부

결정

지정 결과

통지

지정 결과 공고 및 지정서 발급

한국장애인개발원

심사위원

보건복지부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장애인개발원

(10.16.~11.6.)

(11.7.~11.30.)

(11.30.)

(12.1.)

(12.1. 이후)

 ※ 단,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음

 

 신청 기간은 10월 16()부터 11월 6()까지이며한국장애인개발원 이메일(able-edu7@naver.com)로 신청 서류를 접수하면 된다자세한 안내 및 제출서류 등은 보건복지부 누리집(http://www.mohw.go.kr)한국장애인개발원 누리집(http://www.koddi.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보건복지부 누리집>알림>공지사항>공고, 한국장애인개발원>알림>공지사항

 

 보건복지부 이춘희 장애인권익지원과장은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장애인식개선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올바른 장애감수성을 진 기관이 많이 신청하기를 기대한다”라며“교육 콘텐츠 다양화 등 앞으로 교육 내실화 위해 더욱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장애인식개선교육기관 지정 개요

          2. 공고 내용(공고문 내용 발췌)


(보건복지부, 2023.10.15.)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4396&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0-15&endDate=2023-10-2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695 전기차충전기 국내 시험만으로 미국인증 획득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7
1694 민간 주도의 사용후 배터리 거래 시장이 본격 열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1
1693 기술기반 여성기업의 축제, 여성벤처주간 개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2
1692 친환경 모빌리티 분야 순환경제 지원기반 마련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1
1691 한-미 동맹 70주년, 무탄소에너지 동맹으로 재도약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2
1690 직장 내 다양성·포용성 높여함께 일하기 좋은 기업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0
1689 중견기업, 스타트업과 혁신의 해법을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5
1688 삼성·현대·LG·포스코, 여성 공학 인재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0
1687 함께 사는 대한민국, 함께 하는 ‘제품안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0
1686 국제(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협력의 장, 10개국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에서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44
1685 (설명자료)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는 여러 마리 말로 탄소중립이란 마차를 끌기 위한 것 [출처] 대… 비회원 2023-11-27 225
1684 지중해의 관문, 몰타와 경제협력 논의 비회원 2023-11-27 252
1683 환경과학원, 과불화화합물 분석기술 전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45
1682 폐배터리의 재활용 활성화를 위해 폐기물 관련 각종 규제 개선과 업계에 대한 지원을 지속 추진중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52
1681 보건복지부, 취약계층 사례관리 현장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45
1680 녹색여권, 국민들의 주머니 사정을 헤아리고 역사가 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2
1679 보건복지부, 공중위생영업소와 사회복지시설 등 빈대 발생 상황 및 대응체계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5
1678 보건복지부, 내년도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 확대를 앞두고 현장 서비스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5
1677 보건복지부 제2차관, 보건의료 현안에 대해 사립대학병원협회 만나 의견 들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4
1676 보건복지부 제2차관, 생명과 지역을 살리는 필수의료 혁신전략에 대한 공공보건의료기관장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