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에미리트(UAE), 윤석열 정부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에 동참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1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27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와 UAE 원자력공사(Emirates Nuclear Energy Corporation, 이하 ENEC)는 11.24.(금) 화상회의를 통해 우리나라의 ‘무탄소에너지(Carbon Free Energy, 이하 ‘CFE’) 이니셔티브’와 ENEC과 세계원자력협회(World Nuclear Association, 이하 ‘WNA’)의 ‘넷제로 뉴클리어 이니셔티브’(Net Zero Nuclear Initiative)를 교차 지지하기로 하였다.

 

금번 교차 지지 선언은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탄소중립 수단으로서 원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먼저, UAE ENEC의 동참으로 글로벌 기후 아젠다로서 CFE 이니셔티브의 위상이 제고되었다. CFE 이니셔티브는 지난 9월 UN 총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국제사회에 제안한 것으로, 재생에너지를 비롯한 모든 무탄소에너지를 폭넓게 활용해 탄소중립을 조기에 이행하자는 것이다. ENEC의 지지 선언은 CFE 이니셔티브가 국제사회에 점차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원전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국제적으로 재확인되었다. ENEC과 세계원자력협회(WNA)이 파트너십을 통해 구축하고, 한국이 동참한 넷제로 뉴클리어 이니셔티브는 탄소중립 달성의 현실적 대안으로써 원자력의 핵심적 역할을 인정하고, 이를 위해 원자력 용량 확대, 기술개발, 금융 지원 등 다각적인 노력을 촉구한다. 향후 양국은 전 세계 원전 확대에 관심 있는 국가들의 참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은 “금번 교차 지지를 계기로 양국이 확고한 의지를 바탕으로 기후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 양국이 제안한 CFE 이니셔티브와 넷제로 뉴클리어 이니셔티브가 국제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

(산업통상자원부, 2023.11.2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1546&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15,A00013,A00032&startDate=2022-11-27&endDate=2023-11-27&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292 고구마의 달콤함을 품은 고창으로, 지역 상생의 맛있는 여정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3
3291 공신력 있는 녹색금융 실무 전문가 첫 배출, 탄소중립 금융 뒷받침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7
3290 가상현실(VR) 기술로 무공해차 환경인증 전문가를 양성한다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5
3289 배경훈 장관, 기록적 폭염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영등포우체국 현장점검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3
3288 산업부, 업계와 태양광산업 경쟁력강화방안 논의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4
3287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25년 사회적가치지표(SVI) 측정기업 모집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1
3286 노동부 장관, 외국인 노동자 집단 임금체불 사건 전담팀 구성 지시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8
3285 APEC 자동차대화, 지능형·친환경 미래차 기술·정책 논의 이어간다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6
3284 563MW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사업 확정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7
3283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본격 착수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7
3282 혹서기 맨홀 질식사고 근절 특단대책 추진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81 제16차 국제 온실가스 학술회의 개최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80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강화로 지속가능한 성장 대비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79 제5차 한-아세안 환경‧기후변화 대화 개최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78 재활용 촉진 및 현장 불편 해소를 위한 자원순환 분야 규제 개선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77 국내산 전기 시내버스 보급 가속화한다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76 국제 표준 등을 반영하여 제품별 환경성적 산정방법 최신화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75 택배포장 중량 줄이기 등 유통업계 포장재 감축 노력 공유한다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74 유독물질 지정체계 차등화 등 화학물질 관리체계 개선 추진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2
3273 「고용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