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돌봄 서비스, 긴급돌봄 지원 사업, 지역과 함께 발전시켜 나간다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9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19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 9(보건복지부 5층 대회의실에서  임호근 사회서비스정책관 주재로 중앙·지방자치단체 회의를 개최하여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추진현황 및 하반기 사업계획을 점검하고 사업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이란 지방자치단체가 주도적으로 지역 주민의 수요에 맞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청?장년 일상돌봄 서비스 ▲긴급돌봄 지원사업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청년마음건강지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날 회의에 참여한 17개 시?도는 지역별 사업 추진현황 하반기 계획 공유하고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특히지난해 새로 시작된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올해 새로 시작된 긴급돌봄 지원사업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집중 논의하였다.

 

   정부는 지난 12 ‘제1차 사회서비스 기본계획(2024-2028)*을 수립해 국민 누구나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누리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서비스의 양()과 질() 확충하기 위한 9대 과제와 향후 5년간 로드맵을 제시하였다신규 사업들은 기본계획의 주요 과제 중 하나로 추진되고 있다.

 

  * [12.12일 보도자료 참조] “국민 누구나 필요할 때 누리는 질 높은 사회서비스”

 

   우선,‘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서비스 복지 확대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질병고립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청·중장년(19~64) 가족돌봄청년(13~34)에게 돌봄·가사식사영양관리심리 지원 등을 통합 제공하는 사업이다작년 16개 시·의 51개 시··에서 시작했으나올해는 17 ·의 185개 시··구로 수행 지역이 크게 확대되었다이를 통해 그간 돌봄이 필요해도 연령기준소득기준 등이 제한되어 돌봄을 받지 못했던 ·중장년 혜택을 누리고 있다.

 

 

 

  ‘긴급돌봄 지원사업’은 비정형적, 긴급 수요에 대응해 보다 촘촘한 돌봄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 중이며, 갑자기 발생한 질병, 부상, 주(主)돌봄자의 부재(입원, 사망 등)로 혼자 일상생활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한시적(30일, 70시간 내외)으로 신속히 돌봄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긴급돌봄 지원사업은 14개 시·도 122개 시?군?구에서 추진 중이다.

 

   위 서비스들의 이용방법  상세한 정보 보건복지부 누리집에서 확인 수 있으며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국민이라면 거주 지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면 된다특히긴급돌봄 서비스는 사회서비스원 대표번호(1522-0365) 보건복지부 콜센터(129)를 통해서도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임호근 사회서비스정책관은 “돌봄이 필요한 청·중장년분들갑자기 돌봄이 필요한 분들이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지역 현장에서 사업을 총괄하는 시·도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하며, “정부도 지자체가 사업 원활히 추진하고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하였다.


(2024.07.09 보건복지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40209&pageIndex=2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7-19&endDate=2024-07-19&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75 '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1 187
3374 외국인 노동자 대상 건설업 안전보건 강사 양성교육 확대 관리자 2025-09-01 43
3373 국내 기후기술 글로벌 진출을 통한 기후테크 육성 관리자 2025-09-01 50
3372 2026년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 개최도시 공모 관리자 2025-09-01 39
3371 항만건설현장 유해·위험요인 점검으로 중대산업재해 예방한다 관리자 2025-09-01 40
3370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강화를 위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입법예고 관리자 2025-09-01 28
3369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관리자 2025-09-01 26
3368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기상과학원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가동 관리자 2025-09-01 27
3367 기후기술 혁신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관리자 2025-09-01 23
3366 제8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관리자 2025-09-01 24
3365 페놀 폐수 불법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과징금 약 1,761억 원 부과 관리자 2025-09-01 7
3364 환경기술로 기후위기 대응… 우수성과 20선 선정 관리자 2025-09-01 8
3363 환경부 장관, “김포 거물대리, 친환경 도시재생의 본보기로 만들겠다” 관리자 2025-09-01 7
3362 RE100 캠페인 당국, 새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대전환 적극 환영 관리자 2025-09-01 8
3361 ‘일터의 근로자가 집으로 안전하게’, 중앙-지방이 협력하여 지역 산업안전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 관리자 2025-09-01 7
3360 기후변화대사, 유엔 사무총장 기후행동특보 면담(8.27.) 관리자 2025-09-01 8
3359 IEA 사무총장,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노력 긍정 평가” 관리자 2025-09-01 8
3358 청정수소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협력 모색 관리자 2025-09-01 9
3357 김민석 국무총리,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식 참석 관리자 2025-09-01 8
3356 편의점‧휴게소, 상표띠 없는(무라벨) 먹는샘물병 더욱 늘어난다 관리자 2025-09-0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