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독일 에너지신산업·기후기술(테크) 기술교류협력 확대

담당부서 : 중소벤처기업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4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29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이하 중기부)는 16() 독일 홀슈타인 킬 대학 에서 한?독 양국의 전문가와 기업들이 에너지신산업 분야의 기술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한독 에너지 신산업 국제공동 연구개발(R&D) 원탁회의(라운드테이블)’ 행사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국제적(글로벌) 혁신특구 기업들의 해외실증연구를 통한 국제적(글로벌역량 확보를 위해 64억원 규모의 국제공동 연구개발(R&D)사업을 지원하고 있으며이번 사는 전남 직류산업 국제적(글로벌혁신특구 기업들과 독일 측 연구자들 간 신뢰를 바탕으로 연구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연구 방법역할과 협력이 필요한 사항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한독 에너지 신산업 국제공동R&D 라운드테이블 >

 

 

                                                                               

 

 

 

 ? (일시·장소) 7.16(화) 09:00 (현지 시각), 홀슈타인 킬 대학 강당

 

 ? (참석중기부 창업벤처혁신실장전라남도 에너지산업국장녹색에너지연구원장전남 특구 기업 및 프라운호퍼 ISIT 연구진 등 30

 

 (내용) 4개 R&D 후보 과제 논의, 양국 기업 간 1:1 기술상담 매칭, 해외 공동 연구개발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

 

  * ? 능동 열제어(ATC, Active Thermal cotrol)를 통한 전류제어기능 강화,
직렬 입력 병렬 출력(IOSP, Input-Series Output-Parallel, 직렬컨버터의 결함 관리
Meshed dc 그리드 분석 및 제어

     * Meshed grid : 에너지 수용가를 촘촘하게 연결하여 각 가정에서 생산되는  잉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전력망 

    ? 직류 그리드에 대한 풍력 및 태양광 통합 분석

 

 

 

 전남 직류산업 국제적(글로벌혁신특구’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직류산업 시장을 선점하는 동시에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관련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직류로 발전되는 태양광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는 교류로 변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류 형태로 수용가에 전송되는 것이 효율적이며이는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기술(테크)의 핵심적인 기술이다.

 

 중기부와 전라남도는 전력 반도체와 직류전환 기술을 선도하는 독일의 프라운호퍼 ISIT*를 최적의 협력 파트너로 판단하여 그간 실무협의를 지속해왔다.

 

  * 독일 정부출연연구기관이자 유럽 최대의 응용 연구개발 조직인 프라운호퍼의 실리콘기술연구소

 

 같은 날 오후 전라남도녹색에너지연구원프라운호퍼 ISIT는 직류산업 분야의 연구개발기술이전지식공유를 활성화하고 직류 전력기자재 실증과 데이터 수집에 관해 원활한 협력을 해나가기 위한 업무협약서를 체결하였다.

 

 중기부 임정욱 창업벤처혁신실장은 ‘한독 에너지 신산업 국제공동 연구개발(R&D) 원탁회의(라운드테이블)’ 개회사를 통해 “국제사회의 최우선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에 직류 전환을 위한 한국과 독일의 기술협력은 큰 미가 있다.”라고 하면서“더욱 빠르고 과감한 기후기술(테크) 혁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창업기업(스타트업)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후기술(테크분야의 한국과 독일 양국 창업기업(타트업)의 교류와 협력을 위한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고 하였다.

 

 한편중기부는 다음날인 17(),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Land Schleswig-Holstein) 에너지와 기후대응을 연구하는 전문기관들과 전기?전자분야 국제적(글로벌기술 리더 기업인 세미크론 댄포스와도 기후기술(테크분야 관련 우리 기업과의 협력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2024.07.16 중소벤처기업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41276&pageIndex=2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7-29&endDate=2024-07-29&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95 ”지속 가능한 일상을 위한 발걸음, 여름밤 숲속의 사회적가치 축제로 초대합니다!“ 관리자 2025-09-08 22
3394 고용노동부 장관, 안전한 일터를 위한 현장의견을 듣고 답하다 관리자 2025-09-08 22
3393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연계, ‘2025 기후테크 스타트업 서밋’ 개최 관리자 2025-09-08 15
3392 탈플라스틱 순환경제로의 전환, 제17회 자원순환의 날 관리자 2025-09-08 17
3391 기후변화·대기오염, 악순환 끊을 해법 찾는다 관리자 2025-09-08 17
3390 여성가족부, 성별 임금 격차 조사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8 12
3389 여성가족부, 성별 임금 격차 조사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8 5
3388 여성가족부, 성별 임금 격차 조사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8 4
3387 임금체불 근절을 통해 ‘일터’에서의외국인 노동자 권익 보호에 앞장 관리자 2025-09-08 5
3386 창업으로 여는 탄소중립 미래, 2025 환경창업대전 개최 관리자 2025-09-08 5
3385 중남미와 통상 네트워크 확대 및 공급망 협력 강화방안 논의 관리자 2025-09-08 3
3384 지속가능한 물관리의 미래를 연다… 장흥댐 상류에 워터 포지티브 선도사업 착공 관리자 2025-09-08 3
3383 개도국 기후 투명성 역량강화… 인천에서 국제 협력 모색 관리자 2025-09-08 4
3382 개도국 기후 투명성 역량강화… 인천에서 국제 협력 모색 관리자 2025-09-08 3
3381 일하는 모두를 ‘잇다’, 일터에 안전이 ‘있다’ 관리자 2025-09-08 4
3380 노사발전재단, ‘일의 세계에서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정부 역량 강화’ 글로벌 연수 성료 관리자 2025-09-08 3
3379 아세안과 에너지효율 분야기술규제 해소 방안 논의 관리자 2025-09-08 4
3378 한국의 탄소발자국 검증제도, 이탈리아와 상호인정 1호 사례 탄생 관리자 2025-09-08 2
3377 ‘모두가 존중받는 성평등 사회, 모두가 행복한 대한민국’ 관리자 2025-09-08 2
3376 가나에 녹색산업 환경협력단 파견… 아프리카 진출 발판 마련한다 관리자 2025-09-0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