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PRI, EU 택소노미 도전과제와 권장사항 담은 “테스트 보고서’ 공개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80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05

유엔책임투자원칙(UN PRI)은 유럽연합(EU) 그린 택소노미(Green Taxonomy, 녹색분류체계)를 이행 따른 도전과제와 극복을 위한 권장사항을 담은 ‘택소노미 테스트 보고서(Testing the taxonomy report)’를 지난 28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UN PRI 실무자 그룹(TPG)이 2020년 9월 공개한 ‘PRI의 택소노미 테스팅’의 후속 보고 서이다. TPG는 EU 택소노미를 탐구하고 실제 적용을 공유하기위해 2019년 UN PRI 내부에서 발족된 그룹으로, 블랙록, 모건스탠리 등 40여개 굴지의 투자사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 9월 보고서에서는 TPG 소속 기업의 35개 이상의 EU 택소노미 적용 사례 연구와 그에 따른 우려사항 권장사항이 담겨 있다. 이 같은 내용과 후속 조사(금융사 인터뷰 등) 결과를 토대로 금융계 전반이 직면할 있는 과제를 식별해 해결방안과 지침을 이번 발간 보고서에 담은 것이다.


2020년 6월 유럽연합이 채택한 그린 택소노미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녹색) 경제 활동으로 인정되 목록을 담은 분류 체계이다. 즉, 어떠한 활동이 친환경적인지를 분류해주는 체계다. 이러한 소노미는 EU의 2050 넷제로(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필요한 수단 하나이다. 넷제로 달성을 위해서는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사업과 활동에 민간 투자를 많이 유도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어떤 금융 투자 활동 사업이 친환경적인지 분류해주는 체계가 밑바탕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택소 노미는 EU의 기후, 환경 목표에 맞는 민간 투자 목적의 경제 활동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에 대한 기준과 조건을 담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이 같은 녹색 분류체계인 택소노미가 금융섹터에서 기본적으로 투자상품의 경성과를 측정하고 파악하는데 사용되지만, 추가적으로 △수혜자(beneficiaries) 지속가능성 선호도 평가 △지속가능한 투자 기회 식별 △현재 잠재적 보유지분에 대한 (지속가능성 측면) 실사 △녹색 금융 상품 설계 △스튜어드십 활동 안내 △투자 포트폴리오 지속가능성 성과 측정 등에 사용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택소노미와 영향권에 있는 지속가능금융공시제도(SFDR)가 완성되어 가는 과정 중에 있기 문에, 현재로서는 금융섹터가 이를 적용함에 있어 우려사항이 존재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특히 데이터 활용 측면과 기준, 운영 측면에서 택소노미를 적용하는 따르는 우려사항이 있다고 보았으며, 그에 따른 해결 권고 사항을 아래와 같이 식별해 제시했다.


1. 데이터 기준




2. 기준(Criteria)



(UN PRI, 2022.4.28)

https://www.unpri.org/eu-policy/implementing-the-eu-taxonomy-an-update-to-the-pris-testing-the-taxonomy-report/9807.article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75 '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발표 New 관리자 2025-09-01 32
3374 외국인 노동자 대상 건설업 안전보건 강사 양성교육 확대 New 관리자 2025-09-01 16
3373 국내 기후기술 글로벌 진출을 통한 기후테크 육성 New 관리자 2025-09-01 19
3372 2026년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 개최도시 공모 New 관리자 2025-09-01 14
3371 항만건설현장 유해·위험요인 점검으로 중대산업재해 예방한다 New 관리자 2025-09-01 17
3370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강화를 위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입법예고 New 관리자 2025-09-01 12
3369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New 관리자 2025-09-01 10
3368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기상과학원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가동 New 관리자 2025-09-01 7
3367 기후기술 혁신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New 관리자 2025-09-01 8
3366 제8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New 관리자 2025-09-01 9
3365 페놀 폐수 불법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과징금 약 1,761억 원 부과 New 관리자 2025-09-01 1
3364 환경기술로 기후위기 대응… 우수성과 20선 선정 New 관리자 2025-09-01 2
3363 환경부 장관, “김포 거물대리, 친환경 도시재생의 본보기로 만들겠다” New 관리자 2025-09-01 2
3362 RE100 캠페인 당국, 새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대전환 적극 환영 New 관리자 2025-09-01 2
3361 ‘일터의 근로자가 집으로 안전하게’, 중앙-지방이 협력하여 지역 산업안전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 New 관리자 2025-09-01 2
3360 기후변화대사, 유엔 사무총장 기후행동특보 면담(8.27.) New 관리자 2025-09-01 4
3359 IEA 사무총장,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노력 긍정 평가” New 관리자 2025-09-01 4
3358 청정수소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협력 모색 New 관리자 2025-09-01 4
3357 김민석 국무총리,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식 참석 New 관리자 2025-09-01 4
3356 편의점‧휴게소, 상표띠 없는(무라벨) 먹는샘물병 더욱 늘어난다 New 관리자 2025-09-0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