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분야 국가 및 국제표준 발전 위해 전문가 한자리에

담당부서 : 환경부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213일 삼정호텔(서울 강남구 소재)에서 환경분야 국가 및 국제표준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2025 환경표준심의회 연찬회(워크숍)’를 개최한다.

 

올해는 범부처 참여형 국가표준 운영체계가 도입된 지 10주년이 되는 해로, 이번 연찬회환경분야 표준전문가 300명이 참석하여 환경표준의 운영 역량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아울러 국제표준화기구(ISO) 대응을 위한 산·· 전문가들의 유기적인 협력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다.

 

연찬회는 총 2부로 진행되며, 1부에서는 2024년 환경표준심의회 주요 성과 및 2025년 운영계획(국립환경과학원), 세계 표준의 날 국무총리상 수상 기념 표준 제정 방법(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 국제 동향(조성환 국제표준화기구 회장) 등을 소개한다. 특히 1부에서는 지난 10년간 환경분야 표준대응을 활성화하고, 국제적 입지를 넓힌 성과를 기념하기 위해 조성환 국제표준화기구 회장이 특별 강연을 진행한다.

 

2부는 국제표준화기구 수질분야(ISO 147) 국제표준화회의 개최 성과 발표(FITI시험연구원), 표준 정보서 소개(한국물기술인증원), 환경분야 기술심의회 및 16개 분야별 전문위원회 개최 순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지난해 1036차 국제표준화기구(ISO) 수질분야 총회 서울(삼정호텔)에서 개최됐으며, 국내 전문가들은 27개국 250여명의 수질분야 국제전문가와 함께 미세플라스틱 분석방법 등 활발한 논의를 거쳐 성과*를 이뤄냈다.

* 국제표준 신규작업 승인(1), 신규작업안 제안 발표(5), 프로젝트 리더 수임(2)

 

당시 김윤석 박사(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해(2024) 새롭게 설립된 작업반(SC2/WG86)에 컨비너로 임명되어 첫 회의를 진행했다.

 

그해에는 수질분야 이외에도 포장환경 위원회(ISO/TC 122)에 김종경 박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가 의장으로 임명되어 현재까지 총 9명의 국내 전문가가 국제표준화기구 임원으로 국제표준화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분야 2개의 기술심의회와 16분야별 전문위원회를 영 중이며, 이들 전문위원회는 이번 연찬회에서 올해 활동할 각 분야의 대표 전문위원을 선출하고 세계시장 선점, 기업혁신 지원, 혁신 주도형 표준화체계 확립 등을 위한 환경분야 국가표준기본계획 수립을 논의할 계획이다.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앞으로도 환경분야 표준전문가들이 활발히 소통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여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우리나라의 원천기술이 국제표준이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2025.02.12 환경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75 '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발표 New 관리자 2025-09-01 14
3374 외국인 노동자 대상 건설업 안전보건 강사 양성교육 확대 New 관리자 2025-09-01 10
3373 국내 기후기술 글로벌 진출을 통한 기후테크 육성 New 관리자 2025-09-01 15
3372 2026년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 개최도시 공모 New 관리자 2025-09-01 10
3371 항만건설현장 유해·위험요인 점검으로 중대산업재해 예방한다 New 관리자 2025-09-01 13
3370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강화를 위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입법예고 New 관리자 2025-09-01 9
3369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New 관리자 2025-09-01 7
3368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기상과학원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가동 New 관리자 2025-09-01 4
3367 기후기술 혁신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New 관리자 2025-09-01 4
3366 제8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New 관리자 2025-09-01 5
3365 페놀 폐수 불법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과징금 약 1,761억 원 부과 New 관리자 2025-09-01 0
3364 환경기술로 기후위기 대응… 우수성과 20선 선정 New 관리자 2025-09-01 1
3363 환경부 장관, “김포 거물대리, 친환경 도시재생의 본보기로 만들겠다” New 관리자 2025-09-01 1
3362 RE100 캠페인 당국, 새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대전환 적극 환영 New 관리자 2025-09-01 1
3361 ‘일터의 근로자가 집으로 안전하게’, 중앙-지방이 협력하여 지역 산업안전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 New 관리자 2025-09-01 1
3360 기후변화대사, 유엔 사무총장 기후행동특보 면담(8.27.) New 관리자 2025-09-01 3
3359 IEA 사무총장,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노력 긍정 평가” New 관리자 2025-09-01 3
3358 청정수소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협력 모색 New 관리자 2025-09-01 3
3357 김민석 국무총리,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식 참석 New 관리자 2025-09-01 3
3356 편의점‧휴게소, 상표띠 없는(무라벨) 먹는샘물병 더욱 늘어난다 New 관리자 2025-09-0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