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고도화 추진

담당부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기후·환경분야 연구개발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및 국제 협력 대표 사업(글로벌 협력 래그십 프로젝트)을 추진하기 위해 ‘25년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결과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1기후·환경 연구개발 분야에 862억 원을 투자하 2025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을 발표하였고, 그 중 올해 신규로 추진되는 6개 사업 27개 신규과제(25233.7억 원) 선정결과를 발표하였다.

 

수소, 탄소 포집활용(CCU) 탄소중립 국제공동연구 추진

 

먼저, 국가적으로 중요한 기술 확보를 위해 1차 국제 연구개발 대표 사업(글로벌 R&D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선정(’24.5.30., 2회 국제 연구개발<글로벌 R&D> 특별위원회) 수소, 탄소 포집활용(CCU*) 분야 국제공동 연구개발 사업을 착수한다.

 

* Carbon Capture & Utilization : 온실가스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친환경 연료, 화학물질, 건설소재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

 

수소분야는 미국·독일 등 해외 선도 연구그룹과 협력하여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수전해(AEM SOEC) 혁신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미국 에너지부 산하 아르곤 국립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 태평양 북서부 국립연구소(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12개 기관 협력하여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의 내구성 향상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탄소 포집활용 분야는 미국·영국 등과 탄소 포집 기술의 상용성·비용 저감 등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특히, 한양대학교는 미국 에너지부 산하 브룩이븐 국립연구소(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협력하여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하여 지속가능항공유(e-SAF)를 생산하는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탄소 포집활용(CCU) 소 감축 평가·인증체계 구축과제는 국내 최초로 탄소 포집활용 기술에 대한 탄소감축 평가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한다. 탄소 포집활용(CCU) 탄소감축 평가 온라인 체제 기반이 구축되면, 탄소 포집활용(CCU)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통합법에 따른 탄소 포집활용 기술제품 증 제도운영 등에 있어 정량적인 탄소 감축 수치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기술 개발에 인공지능 활용 강화

 

세 번째로 인공지능 기반 미래기후기술개발 원천연구사업은 인공지능 시대 인공지능을 활용한 한반도 미래기후 예측·대응 원천 기술 개발을 통해 국가의 기후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고 미래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한다.

 

기존 물리법칙 등 역학 기반 기후예측 모델의 정확도와 순수 인공지능 기후 예측 모형의 빠른 처리속도를 결합한 인공지능-역학 전지구 기후모형 개발, 인공지능을 활용한 한반도 복합기후재해 예측 등을 통해 급변하는 한반도 기후의 중장기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탄소에너지 기술개발

 

네 번째로 무탄소에너지 기술개발사업은 차세대 초격차 태양전지, 무탄소 연료활용·초고성능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을 통해 무탄소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원천기술 및 국내외 현장 적용을 위한 기반기술(내구성, 안정성 등) 확보를 추진한다.

 

차세대 초격차 태양전지는 기존 단일접합(페로브/실리콘 탠덤) 태양전지의 한계극복다중접합 태양전지 개발 등으로 효율성제고(기존 27% 35% 이상)하고, 건물·차량 등 적용공간의 한계 극복하기 위한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의 경우 고온(700이상)에서 운용되는 만큼 내구 부족 쟁점을 극복하고, 효율성을 제고(기존 63% 68% )하는 등,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확보하기 위한 연료전지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섯 번째로 차세대 탄소 포집활용(CCU) 기술고도화 사업은 무탄소에너지와 연계하여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전주기 기술 실증을 통해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제철 공정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액상연료(메탄올 등)를 생산하는 촉매, 공정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발전소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제공받고, 수전해 수소를 활용하여 고상원료(합성원유 등)를 생산하는 촉매, 공정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청정수소기술자립사업(그린수소기술자립프로젝트사업)24년 수소기술 자립화를 위한 수전해 기술개발을 위해 신규로 추진된 사업으로, 올해 선정된 연구과제는 ‘24년에 선정된 알칼라인 수전해, 양성자교환막(PEM) 수전해 국가수소중점연구실과 연계하여 청정수소(그린수소) 기술의 자립화를 위한 동반상승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

 

이번에 선정되는 과제는 최대 6년간 지원예정이며, 개별 주관연구기관에 선정결과 통보 후 이의신청기간을 거쳐 협약될 예정이다.


(2025. 04.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83 2025년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전문인력 양성과정 모집 총괄관리자 2025-05-20 63
3182 자연환경복원사업에 민간 참여 실적 인정… 생물다양성 보전의 새로운 전환점 총괄관리자 2025-05-20 80
3181 화학물질 안전과 동물복지 함께 지킨다… 동물대체시험시설 첫삽 총괄관리자 2025-05-20 58
3180 사회적기업과 인턴이 함께 성장하는 기회, 민간협업으로 확산됩니다 총괄관리자 2025-05-20 52
3179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위해 환경부-조달청 힘 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5-16 74
3178 건설업 고위험 현장에 대한 재해 예방 집중점검 총괄관리자 2025-05-14 74
3177 기후위기 대응 총력전…환경부-첨단업계, 물 위기 극복에 손잡다 총괄관리자 2025-05-12 72
3176 『중대재해 사이렌』, 사고예방의 첫걸음 총괄관리자 2025-05-12 70
3175 "위험성평가, 우리 사업장은 이렇게 했어요!" Hot 총괄관리자 2025-04-30 143
3174 ‘생물다양성협약 지속가능한 해양 이니셔티브’ 지원 양해각서 유효기간 5년 연장 Hot 총괄관리자 2025-04-30 111
3173 외국인 임금체불, 괴롭힘 등 예방을 위한 외국인고용 취약사업장 선제적 발굴·감독 총괄관리자 2025-04-28 138
3172 과기정통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고도화 추진 총괄관리자 2025-04-28 156
3171 부산·경남 지역에서 기후변화와 수산업의 미래를 논하다 총괄관리자 2025-04-28 93
3170 연이은 대형사고, 전국 건설현장 집중점검 실시 총괄관리자 2025-04-23 117
3169 탄소규제 대응위한 민관 소통 한층 더 강화 총괄관리자 2025-04-23 105
3168 한국장애인고용공단-현대자동차(주) ‘장애인 고용을 통한 ESG경영 실천’ 업무협약 총괄관리자 2025-04-22 135
3167 국제해사기구(IMO), 국제해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기조치 규제 승인 총괄관리자 2025-04-22 90
3166 민관 힘모아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활성화 방안 모색 총괄관리자 2025-04-22 103
3165 광역부터 기초 지자체까지 탄소중립 본격 시동… 중앙·지방 정부 힘 모은다 총괄관리자 2025-04-22 107
3164 환경·사회·투명(ESG) 경영 고민, 무료 상담 총괄관리자 2025-04-22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