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원자재법 제정 추진… 제 2의 美 인플레 감축법 되나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57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05

유럽연합(EU)이 원자재법(Raw Materials Act, RMA) 제정에 나서면서 제 2의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사전 조치를 통해 초기 법 제정 과정에서부터 EU와 협력할 계획이다.

19일 외신 등에 따르면 EU는 원자재법 이해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 절차에 착수했다. 법안 초안은 내년 1분기 중에 공개될 예정이다.

원자재법의 목적은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EU 내 생산을 늘리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과 리스크 관리 역량, 연구·혁신(R&I) 역량 강화 등을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EU는 현재 법안 초안을 마련하고 있어 세부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우선순위 및 목표 설정, 리스크 관리, 공급망 강화, 지속가능 경쟁여건 형성 등 4가지 측면에서 키워드 수준으로 방향을 제시했다.

?

원자재법은 전략적 핵심원자재 목록을 선정하고 밸류체인별 역량 확대를 위한 목표 설정할 계획이다. 리스크 관리를 위해선 전용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전략광물 맵핑, 공급망 스트레스테스트 등 수행할 예정이다.

EU는 원자재법으로 역내·외 전략 프로젝트 식별, 자금·인허가 절차 지원, 공급망 개발 기금 조성 등을 통해 공급망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전략적 비축 투명성 제고, 환경 등 관련 표준 개발 노력 등도 병행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날 EU의 원자재법 제정 동향 관련 민관합동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윤창현 통상정책국장은 "RMA가 우리 기업들에 차별적인 요소 없이 설계되도록 초기 단계부터 민·관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RMA 추진동향을 모니터링하고 EU측과도 지속해서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머니스, 2022.10.19)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2101816123084138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75 '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발표 New 관리자 2025-09-01 32
3374 외국인 노동자 대상 건설업 안전보건 강사 양성교육 확대 New 관리자 2025-09-01 16
3373 국내 기후기술 글로벌 진출을 통한 기후테크 육성 New 관리자 2025-09-01 19
3372 2026년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 개최도시 공모 New 관리자 2025-09-01 14
3371 항만건설현장 유해·위험요인 점검으로 중대산업재해 예방한다 New 관리자 2025-09-01 17
3370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강화를 위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입법예고 New 관리자 2025-09-01 12
3369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New 관리자 2025-09-01 10
3368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기상과학원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가동 New 관리자 2025-09-01 7
3367 기후기술 혁신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New 관리자 2025-09-01 8
3366 제8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New 관리자 2025-09-01 9
3365 페놀 폐수 불법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과징금 약 1,761억 원 부과 New 관리자 2025-09-01 1
3364 환경기술로 기후위기 대응… 우수성과 20선 선정 New 관리자 2025-09-01 2
3363 환경부 장관, “김포 거물대리, 친환경 도시재생의 본보기로 만들겠다” New 관리자 2025-09-01 2
3362 RE100 캠페인 당국, 새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대전환 적극 환영 New 관리자 2025-09-01 2
3361 ‘일터의 근로자가 집으로 안전하게’, 중앙-지방이 협력하여 지역 산업안전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 New 관리자 2025-09-01 2
3360 기후변화대사, 유엔 사무총장 기후행동특보 면담(8.27.) New 관리자 2025-09-01 4
3359 IEA 사무총장,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노력 긍정 평가” New 관리자 2025-09-01 4
3358 청정수소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협력 모색 New 관리자 2025-09-01 4
3357 김민석 국무총리,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식 참석 New 관리자 2025-09-01 4
3356 편의점‧휴게소, 상표띠 없는(무라벨) 먹는샘물병 더욱 늘어난다 New 관리자 2025-09-0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