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온호, 기후위기 최전선 '북극해'로 출항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73() 국내 유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91일간의 북극해 탐사 항해에 나선다고 밝혔다. 올해로 16번째를 맞는 이번 탐사는 기후변화의 최전선인 북극해에서 해양과 기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북극항로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해저 지형, 기상 데이터 등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북극에서는 해빙(海氷)이 급속도로 줄어들고 있고, 이로 인해 해양생태계와 전 지구적인 대기 순환 구조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북극발 폭염, 한파와 같은 상기후가 점점 더 빈번해지는 가운데, 그 원인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미래를 측하기 위해서는 북극의 실제 변화 양상을 관측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라온호는 이번 항해에서 북극 베링해와 동시베리아해, 축치(Chukchi), 퍼트해 등 북극 주요 해역을 따라 항해하며, 해빙(海氷) 감소가 인접한 생태계에 미친 영향과 북극해 해저 동토층 붕괴 현상 등을 정밀 조사할 예정이다.

 

탐사에 참여하는 극지연구소의 양은진 박사 연구팀은 지난해 설치한 장기계류장비를 수거해 1년치 데이터를 확보하는 한편, 일정 기간 해빙 위에 머물며 해빙의 두께와 거칠기, 수중 음향 환경을 측정하는 등 종합적인 해양-대기 관측을 수행할 계획이다.

 

또한, 극지연구소의 홍종국 박사 연구팀은 미국, 캐나다 연구진과 함께 캐나다 보퍼트해에서 국제 공동탐사를 벌인다. 이 지역은 해저 동토가 점차 무너지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대량의 메탄가스가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보다 온실효과가 수십 배 강력해, 북극 지역의 기후변화와 그 파급력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

 

또한 올해는 캐나다 보퍼트해 탐사 외에도, 미국 쇄빙연구선 힐리(Healy)호와 협력해 러시아 북동부 인근의 랍테프(Laptev)해 탐사에도 국내 연구진이 동참한다. 이는 한국이 북극 연구에서 국제협력의 중요한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향후 차세대 쇄빙연구선이 도입되면, 기후변화가 가장 극적으로 나타나는 북극해에서의 연구 가능 기간은 지금보다 최소 2~3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북극의 변화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 지금 우리 삶과 연결된 현실이라며, “아라온호가 무사히 임무를 마치고 돌아올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



(2025.07.03, 해양수산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241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7개국 공무원 대상 온실가스 전문가 교육 개최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11
3240 폭염 시 2시간 마다 20분 휴식 보장한다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12
3239 관계부처 합동 「RE100 산업단지 추진 TF」 발족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10
3238 탄소무역장벽 대응 지원을 위한기업 현장 소통 강화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10
3237 임금체불에 특히 취약한 10대 건설기업 대상 노동·산재·외국인 「통합감독」 착수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11
3236 고용노동부, 혹서기 폭염 및 질식 재해 취약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8
3235 천 맨홀 질식사고 강도높은 수사, 질식재해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 본격 착수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5
3234 폭염에 취약한 근로 현장의 안전, 정부가 꼼꼼히 챙긴다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4
3233 기후변화에 강한 항만, 아세안과 함께 만든다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5
3232 탄소감축 투자 기업에 1,521억 원 융자 지원, 산업 그린전환(GX)의 마중물 되다!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4
3231 아라온호, 기후위기 최전선 '북극해'로 출항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1
3230 산업 그린전환(GX)의 핵심, 순환경제의 미래를 만나다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1
3229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전환을 위한 AI 활용 방안 논의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0
3228 다가오는 탄소발자국 규제,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으로 뛰어넘는다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0
3227 한국형 기업 재난관리체계로 재난·사고에 강한 기업 만든다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1
3226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특화 '한국형 위험평가 체계' 도입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1
3225 2025년 2분기 신규화학물질 51종 유해성·위험성 공표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1
3224 산업재해 예방에 현장 근로자 참여 강화 한다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1
3223 니토덴코 관련 이의신청사건, 조정절차 진행 결정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0
3222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이행현황, 국민과 함께 공유한다 New 총괄관리자 2025-07-1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