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차관, 폭우·폭염 재해 예방 및 노동자 안전과 생명 보호 최우선 당부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 권창준 차관은 717() 10:00 시화공단(경기도 시흥)에 있는 염색가공업체(제조업) ()창일텍스타일방문하여 폭염안전 5기본수칙*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이번 주 집중호우로 인한 재해 예방도 함께 당부했다.

* 시원한 물 냉방장치 휴식(2시간마다 20분 이상) 보냉장구 지급 119신고

이날 점검은 오늘 시행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현장 노동자 휴식권과 건강권이 제대로 보장되고, 언어적 소통이 어려운 이주노동자가 소외되지 않도록 직접 챙기기 위한 것이다.

()창일텍스타일고온으로 원단을 다림질해야 하는 공정 등으로 인해 작업장의 온도가 쉽게 올라가 온열질환 예방 조치필요한 사업장이다.

권창준 차관은 현장을 점검하면서 다음 주부터 다시 폭염이 예상되므로 냉방장치를 추가 설치하거나 2시간마다 20분 이상 주기적으로 휴식을 부여하라.”라고 당부했다.

또한 방글라데시, 네팔, 인도네시아 국적 외국인이 많이 일하고 있는 만큼 모국어로 된 폭염안전 5대 기본수칙을 이주노동자들이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부착하고 안전교육을 실시해 달라.라고 지도했다.

이에 현장 관계자는 올해 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아 이동식에어컨을 설치·가동하고 있으며, 작업장 온도가 높은 일부 공정은 1시간마다 10분 휴식을 부여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권창준 차관은 어제 저녁 집중호우로 인해 경기 오산 지역 붕괴 사고 발생하는 등 이번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예방 필요하다라고 하면서,

사업장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붕괴·감전 등 피해 예상되는 경우 즉시 작업중지 노동자대피시키고, 전국 지방고용노동관서 비상대응체계를 유지하여 위험상황 발생 적극 대응하는 등 노동자의 안전과 생명보호 최우선으로 하라.라고 말했다.


(2025.07.17 고용노동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75 '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1 175
3374 외국인 노동자 대상 건설업 안전보건 강사 양성교육 확대 관리자 2025-09-01 33
3373 국내 기후기술 글로벌 진출을 통한 기후테크 육성 관리자 2025-09-01 40
3372 2026년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 개최도시 공모 관리자 2025-09-01 30
3371 항만건설현장 유해·위험요인 점검으로 중대산업재해 예방한다 관리자 2025-09-01 32
3370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강화를 위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입법예고 관리자 2025-09-01 25
3369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관리자 2025-09-01 23
3368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기상과학원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가동 관리자 2025-09-01 22
3367 기후기술 혁신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관리자 2025-09-01 19
3366 제8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관리자 2025-09-01 21
3365 페놀 폐수 불법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과징금 약 1,761억 원 부과 관리자 2025-09-01 4
3364 환경기술로 기후위기 대응… 우수성과 20선 선정 관리자 2025-09-01 5
3363 환경부 장관, “김포 거물대리, 친환경 도시재생의 본보기로 만들겠다” 관리자 2025-09-01 5
3362 RE100 캠페인 당국, 새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대전환 적극 환영 관리자 2025-09-01 5
3361 ‘일터의 근로자가 집으로 안전하게’, 중앙-지방이 협력하여 지역 산업안전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 관리자 2025-09-01 4
3360 기후변화대사, 유엔 사무총장 기후행동특보 면담(8.27.) 관리자 2025-09-01 6
3359 IEA 사무총장,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노력 긍정 평가” 관리자 2025-09-01 6
3358 청정수소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협력 모색 관리자 2025-09-01 7
3357 김민석 국무총리,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식 참석 관리자 2025-09-01 6
3356 편의점‧휴게소, 상표띠 없는(무라벨) 먹는샘물병 더욱 늘어난다 관리자 2025-09-0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