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표준 등을 반영하여 제품별 환경성적 산정방법 최신화

담당부서 : 환경부


환경부(장관 김성환)는 우리 기업의 국제 환경·탄소규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제품의 환경영향을 산정하는 데 활용되는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개정사항이 730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환경성적표지는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18조에 따라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 채취, 생산, 유통,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 대한 환경영향을 7* 범주별로 정량화하여 표시하는 인증 제도다.

* 탄소발자국, 자원발자국, 물발자국, 부영양화, 오존층영향, 산성비, 광화학스모그

 

환경성적표지 인증 대상은 의료기기, 의약품, 1차 농수축산물 및 임산물을 제외한 모든 제품이며 대상제품별로 공통지침 3, 사용 시나리오 지침 31, 개별지침 25개가 적용되었다.

 

이번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개정 사항은 기존 작성 지침 중에서 주요 수출 품목 등 기업의 환경성적 산정 수요가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국제 표준과 국내 산업 여건 등을 반영하여 제품의 환경성적 산정방법을 최신화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지금까지 공통지침이나 사용 시나리오 지침을 적용했던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 등 21개 품목이 개별지침으로 전환되고, 가정용 가스보일러 등 6개 개별지침은 최신 제품 특성, 국제 표준 등이 반영됐.

 

또한, 유무선전화기 등 10개 품목에 대한 사용 시나리오 지침은 시장 수요 및 기술 변화 등을 고려하여 폐지되거나 개별지침으로 전환되는 등 총 37개의 작성지침이 조정됐다.

 

이번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 개정으로 대상 품목이 기존 59개에서 70개로 확대*된다.

* (기존 59) 공통지침 3, 사용 시나리오 지침 31, 개별지침 25

(변경 70) 공통지침 3, 사용 시나리오 지침 21, 개별지침 46

한편 올해(2025) 6월 기준으로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은 제품 수는 2,992개이며, 이 중 1,189개 제품이 종전보다 탄소배출량을 감축하여 저탄소제품* 인증을 받았다.

*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은 제품 중 탄소발자국 값이 저탄소제품 기준고시에서 정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을 만족하는 제품

 

서영태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환경성적표지 작성지침 개정을 통해 제도의 활용도를 높이고, 환경성적이 우수한 제품의 생산과 소비를 촉진하겠다라고 밝혔다.


(2025.07.29 환경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292 고구마의 달콤함을 품은 고창으로, 지역 상생의 맛있는 여정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1
3291 공신력 있는 녹색금융 실무 전문가 첫 배출, 탄소중립 금융 뒷받침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3
3290 가상현실(VR) 기술로 무공해차 환경인증 전문가를 양성한다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3
3289 배경훈 장관, 기록적 폭염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영등포우체국 현장점검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2
3288 산업부, 업계와 태양광산업 경쟁력강화방안 논의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3
3287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25년 사회적가치지표(SVI) 측정기업 모집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0
3286 노동부 장관, 외국인 노동자 집단 임금체불 사건 전담팀 구성 지시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7
3285 APEC 자동차대화, 지능형·친환경 미래차 기술·정책 논의 이어간다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4
3284 563MW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사업 확정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5
3283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본격 착수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6
3282 혹서기 맨홀 질식사고 근절 특단대책 추진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81 제16차 국제 온실가스 학술회의 개최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80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강화로 지속가능한 성장 대비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79 제5차 한-아세안 환경‧기후변화 대화 개최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78 재활용 촉진 및 현장 불편 해소를 위한 자원순환 분야 규제 개선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77 국내산 전기 시내버스 보급 가속화한다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76 국제 표준 등을 반영하여 제품별 환경성적 산정방법 최신화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75 택배포장 중량 줄이기 등 유통업계 포장재 감축 노력 공유한다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1
3274 유독물질 지정체계 차등화 등 화학물질 관리체계 개선 추진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2
3273 「고용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New 총괄관리자 2025-08-0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