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한-말레이시아 기후변화대화」 개최

담당부서 : 외교부


우리나라와 말레이시아 간 기후변화 대응 협력 강화를 위한 3차 한-말레이시아 기후변화대화8.25.()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회의에는 정기용 외교부 기후변화대사와 다툭 노르 야하티 빈티 아왕(Datuk Nor Yahati binti Awang) 말레이시아 천연자원·환경지속가능부 환경지속가능 차관보가 수석대표로 참석하였다. 이번 회의에는 외교부, 환경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및 한국환경공단 등 관계 정부부처 및 기관 담당자들이 참석하였다.

 

-말레이시아 기후변화 대화는 기후변화 대응 양자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23.5월 한-말 외교장관회담 계기 신설 / ’23.10월 말레이시아에서 제1차 회의 개최, ‘24.9월 한국에서 제2차 회의 개최

 

금번 회의에서 양국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국내 기후변화 정책을 소개하고, 금년 11월 개최되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관련 주요 의제 협상 동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다. 나아가 양자 기후변화 협력 기본협정과 양국간 추진 중인 파리협정 제6.2조를 활용한 국제감축사업*에 대해 논의하였다.

 

* 국가 간 자발적 협력을 통한 국제감축사업에서 발급된 감축 실적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활용

 

우리측은 우리나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이행, 배출권거래제도,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 등을 포함한 우리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소개하였으며, 파리협정 제6.2조 사업에서 우리나라의 환경건전성 기준과 국제감축사업 유치국의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하기 위한 한국형 레디니스(Readiness) 프로그램도 소개하였다.

 

나아가 우리측은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추진 중인 2건의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의 추진 현황과 향후 추진 계획을 공유하며, -말레이시아 양국 간 폐기물 관리 분야에서의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의 확대를 희망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팜유 슬러지 등 말레이시아의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양국은 지난해 11월 체결된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의 후속조치로 양국간 양자 기후변화 협력 협정을 체결하기 위한 협상을 개시하기로 합의하여, 향후 양국간 온실가스 국제감축 분야에서의 실질협력 확대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정 대사는 3차에 이른 양국간 기후변화 대화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양측 이해관계의 상호보완성과 상생적 협력 가능성이 큰 것을 재확인하고, 국제 기후변화 협상에서의 공조를 심화시킬 수 있는 의미있는 전기를 마련했다고 언급하였다. 양국은 내년에 서울에서 제4차 회의를 갖기로 합의하였다.



(2025.08.25 외교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75 '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발표 New 관리자 2025-09-01 43
3374 외국인 노동자 대상 건설업 안전보건 강사 양성교육 확대 New 관리자 2025-09-01 17
3373 국내 기후기술 글로벌 진출을 통한 기후테크 육성 New 관리자 2025-09-01 21
3372 2026년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 개최도시 공모 New 관리자 2025-09-01 15
3371 항만건설현장 유해·위험요인 점검으로 중대산업재해 예방한다 New 관리자 2025-09-01 18
3370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강화를 위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입법예고 New 관리자 2025-09-01 13
3369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New 관리자 2025-09-01 11
3368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기상과학원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가동 New 관리자 2025-09-01 8
3367 기후기술 혁신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New 관리자 2025-09-01 9
3366 제8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New 관리자 2025-09-01 10
3365 페놀 폐수 불법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과징금 약 1,761억 원 부과 New 관리자 2025-09-01 1
3364 환경기술로 기후위기 대응… 우수성과 20선 선정 New 관리자 2025-09-01 2
3363 환경부 장관, “김포 거물대리, 친환경 도시재생의 본보기로 만들겠다” New 관리자 2025-09-01 2
3362 RE100 캠페인 당국, 새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대전환 적극 환영 New 관리자 2025-09-01 2
3361 ‘일터의 근로자가 집으로 안전하게’, 중앙-지방이 협력하여 지역 산업안전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 New 관리자 2025-09-01 2
3360 기후변화대사, 유엔 사무총장 기후행동특보 면담(8.27.) New 관리자 2025-09-01 4
3359 IEA 사무총장,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노력 긍정 평가” New 관리자 2025-09-01 4
3358 청정수소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협력 모색 New 관리자 2025-09-01 4
3357 김민석 국무총리,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식 참석 New 관리자 2025-09-01 4
3356 편의점‧휴게소, 상표띠 없는(무라벨) 먹는샘물병 더욱 늘어난다 New 관리자 2025-09-0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