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재배 농업인 대상 “저탄소농업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실시

담당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벼를 재배하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2025년 상반기 저탄소농업 프로그램에 참여할 농업인을 120일부터 221일까지 한달간 한국농어촌공사를 통해 모집한다.

 

저탄소농업 프로그램은 농업 활동 중에 탄소 발생을 저감 할 수 있는 행위에 대하여 활동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대상 활동은 중간 물떼기(15만원/), 논물 얕게 걸러대기(16만원/), 바이오차* 투입(36.4만원/), 가을갈이(46만원/, 하반기 접수)가 해당된다.

 

* 바이오차: 농작물잔사, 왕겨, 목재, 가축분뇨 등을 산소가 제한된 조건하에 350이상에서 열분해하여 제조한 물질로 바이오매스(biomass) + (crcoal)의 합성어

 

저탄소농업 프로그램은 지난해 50이상 규모로 실시했으나, 지자체와 농업인들의 요청에 따라 올해부터는 20규모까지 신청할 수 있도록 사업 규모를 확대하였다.

 

사업 신청은 농업법인 또는 생산자단체만 사업을 신청할 수 있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개인은 농업법인이나, 생산자단체에 포함해서 신청할 수 있다. 대상 농지 또한 당해연도 기본직불금 지급대상 농지로 제한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 1·도별 사업량을 배정하였으며, 광역지자체는 이에 따라 선정심의회를 구성하여, 사업 우선순위 및 지자체 여건 등을 고려하여 사업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 필요 시 지자체별 여건에 맞게 시·군 선정심의회를 구성·운영하며, 이 경우 시·도가 시·군별 물량을 배분, ·군 단위에서 사업대상자 선정 후 시·도 제출


농식품부 박정훈 동물복지환경정책관은 농업인들이 저탄소 영농활동 참여를 통하여, 탄소중립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세계적인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동참한다는 자긍심을 가지시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2025.01.20 농림축산식품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75 '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1 150
3374 외국인 노동자 대상 건설업 안전보건 강사 양성교육 확대 관리자 2025-09-01 28
3373 국내 기후기술 글로벌 진출을 통한 기후테크 육성 관리자 2025-09-01 33
3372 2026년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 개최도시 공모 관리자 2025-09-01 25
3371 항만건설현장 유해·위험요인 점검으로 중대산업재해 예방한다 관리자 2025-09-01 28
3370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강화를 위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입법예고 관리자 2025-09-01 19
3369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관리자 2025-09-01 17
3368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기상과학원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가동 관리자 2025-09-01 18
3367 기후기술 혁신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관리자 2025-09-01 13
3366 제8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관리자 2025-09-01 17
3365 페놀 폐수 불법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과징금 약 1,761억 원 부과 관리자 2025-09-01 3
3364 환경기술로 기후위기 대응… 우수성과 20선 선정 관리자 2025-09-01 4
3363 환경부 장관, “김포 거물대리, 친환경 도시재생의 본보기로 만들겠다” 관리자 2025-09-01 4
3362 RE100 캠페인 당국, 새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대전환 적극 환영 관리자 2025-09-01 4
3361 ‘일터의 근로자가 집으로 안전하게’, 중앙-지방이 협력하여 지역 산업안전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 관리자 2025-09-01 3
3360 기후변화대사, 유엔 사무총장 기후행동특보 면담(8.27.) 관리자 2025-09-01 5
3359 IEA 사무총장,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노력 긍정 평가” 관리자 2025-09-01 5
3358 청정수소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협력 모색 관리자 2025-09-01 6
3357 김민석 국무총리,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식 참석 관리자 2025-09-01 5
3356 편의점‧휴게소, 상표띠 없는(무라벨) 먹는샘물병 더욱 늘어난다 관리자 2025-09-0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