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사회·투명(ESG) 경영 고민, 무료 상담

담당부서 : 환경부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중소중견기업의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경쟁력 강화를 위한 친환경경영(ESG) 상담(컨설팅) 지원사업410일부터 52일까지 공모한다고 밝혔다.

 

2022년부터 시작한 이 사업은 기업이 당면한 환경사회투명 경영현안을 해결할 수 있도록 환경 분야 전문 상담(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기업의 환경사회투명 경영에 대한 기본기를 다지는 기초 컨설팅과 공급망 실사와 같은 구체적인 국제 환경규제별 대응 방법과 제품 단위의 탄소 저감방안 마련을 지원하는 심화 컨설팅으로 구성됐다.

 

구분

주요내용

기초 컨설팅

(친환경경영 체계 구축) 친환경경영 기반 구축 지원

온실가스 관리체계(측정목표 설정감축) 구축, ESG 교육, 친환경 공정개선 등

심화 컨설팅

(환경무역장벽 대응 컨설팅) 환경 관련 ESG 규제 대응 지원

공급망 실사 체계 구축(부정적 영향 사전점검 등), 모의 실사 대응 지원 등

(탄소저감 제품 설계생산 컨설팅) 제품의 탄소 경쟁력 강화 지원

제품 단위 탄소 배출량 산정, 공정진단 등을 통한 감축 방안 수립 등

 

지난해(2024)에는 중소중견기업 138개 사가 상담(컨설팅) 지원을 받았다. 참여기업 중에서는 고객사의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평가점수 상향으로 계약유지 조건을 충족한 사례, 유럽연합(EU) 공급망 실사지침 적용 대상으로 포함되어 해외 20여 개국의 협력사를 대상으로 공급망 관리체계를 새로 구축한 사례 등 각종 우수사례도 나타났다.

 

이들 기업별 상담(컨설팅) 우수사례는 올해 6월에 발간될 예정인 ‘2024년 친환경경영(ESG) 컨설팅 사례집에 수록되어, ‘환경사회투명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에 실질적인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친환경경영(ESG) 상담(컨설팅) 지원사업은 전년 대비 30% 많은 170여 개 기업에 상담(컨설팅)을 제공하여 환경사회투명 경영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산업계를 도울 예정이다.

 

특히, 환경부는 올해(2025) 47일자로 수출 대기업 4개 사(아모레퍼시픽, LG에너지솔루션, 롯데케미칼, 풀무원)상생협력 환경사회투명 경영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서면으로 체결하여, 협력사를 대상으로 상담(컨설팅)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공모 이후 발생하는 상담(컨설팅) 수요에 대응하여, 상시 접수를 통해 긴급한 환경사회투명 경영 현안 해소 중심의 상담(컨설팅)도 병행할 예정이다.

친환경경영(ESG) 상담(컨설팅) 지원사업모집 방법 및 제출서류 등 자세한 사항은 환경부(me.go.kr) 및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re.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원사업에 대한 접수방법 등 자세한 내용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ESG경영지원실(02-2284-1966, 1988, 1968)로 문의

 

서영태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주요국의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정책 변화가 일부 있으나 환경과 미래를 고려하는 기업 경영 흐름은 계속될 이라며 현 과도기를 우리 기업들의 공급망 경쟁력을 키울 기회로 삼아 실질적인 기업 수요를 반영한 지원사업을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2025.04.09 환경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75 '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 결과 발표 관리자 2025-09-01 195
3374 외국인 노동자 대상 건설업 안전보건 강사 양성교육 확대 관리자 2025-09-01 52
3373 국내 기후기술 글로벌 진출을 통한 기후테크 육성 관리자 2025-09-01 54
3372 2026년 유엔기후변화협약 기후주간 개최도시 공모 관리자 2025-09-01 43
3371 항만건설현장 유해·위험요인 점검으로 중대산업재해 예방한다 관리자 2025-09-01 44
3370 밀폐공간 질식재해 예방 강화를 위한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입법예고 관리자 2025-09-01 30
3369 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관리자 2025-09-01 28
3368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기상과학원과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 가동 관리자 2025-09-01 27
3367 기후기술 혁신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관리자 2025-09-01 23
3366 제8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관리자 2025-09-01 25
3365 페놀 폐수 불법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과징금 약 1,761억 원 부과 관리자 2025-09-01 7
3364 환경기술로 기후위기 대응… 우수성과 20선 선정 관리자 2025-09-01 8
3363 환경부 장관, “김포 거물대리, 친환경 도시재생의 본보기로 만들겠다” 관리자 2025-09-01 8
3362 RE100 캠페인 당국, 새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 대전환 적극 환영 관리자 2025-09-01 8
3361 ‘일터의 근로자가 집으로 안전하게’, 중앙-지방이 협력하여 지역 산업안전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 관리자 2025-09-01 7
3360 기후변화대사, 유엔 사무총장 기후행동특보 면담(8.27.) 관리자 2025-09-01 9
3359 IEA 사무총장,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노력 긍정 평가” 관리자 2025-09-01 8
3358 청정수소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협력 모색 관리자 2025-09-01 9
3357 김민석 국무총리,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식 참석 관리자 2025-09-01 8
3356 편의점‧휴게소, 상표띠 없는(무라벨) 먹는샘물병 더욱 늘어난다 관리자 2025-09-0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