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바다숲 및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지역 선정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96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19

2023년 바다숲 및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지역 선정

- 총 504억원 투입, 바다숲 15개소, 산란·서식장 4개소 확대 -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해수온 상승 등 기후변화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23년에 바다숲 15개소수산자원 산란·서식장 4개소를 추가 조성한다고 밝혔다.

 

  바다숲 조성은 바다사막화로 인해 훼손된 연안해역의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2009년부터 시행 중이며, 주로 바다식물(대황, 감태, 모자반, 잘피 등) 이식 사업으로 진행된다.

 

  금번에 선정된 바다숲 조성지는 백화 및 갯녹음 현상이 심각한 제주 및 동해안 수역으로 지역별 조성면적은 아래 표와 같다.

 

< 2023년 바다숲 선정 조성지역 >

신규사업지

면적()

신규사업지

면적()

신규사업지

면적()

고성군 아야진리

1.516

포항시 창진1

1.558

서귀포시 대포동

1.616

서귀포시 법환동

1.616

제주시 도두동2

1.611

제주시 도두동1

1.611

제주시 내도동

1.611

서귀포시 온평리

1.612

포항시 신창1

1.564

속초시 동명동

1.518

기장군 동백리

1.576

남해군 원천리

1.586

울진군 거일2

1.548

서귀포시 보목동

1.616

제주시 도두동3

1.611

 

  금년에 15개소, 23.8㎢의 바다숲이 조성되면 총 243개소, 315.6㎢의 바다숲이 조성되게 된다.

 

< 바다숲 조성사업 추진현황(누적) >

(09) 1.2㎢ → (10) 3.71㎢ → (15) 91.45㎢ → (20) 242.58㎢ → (22) 291.8

 

 

  해양수산부는 최근 바다숲이 탄소흡수원(블루카본)으로 재조명되고 있어, 2030년까지 540㎢ 바다숲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특히바다숲 조성단계에서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2009년부터 인공어초 등의 인공구조물 시설을 줄이고, 자연암반을 활용한 해조류 이식 등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조성하고 있다.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은 지역별 특화품종의 수산자원 증대를 위해 수산자원의 생활사이클에 따른 맞춤형 환경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2015년부터 시행 중이다.

 

  금번에 선정된 산란·서식장 조성지는 4개소로, 5년간 총 148억원이 투입된다.

 

< 2023년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선정 조성지역 >

신규사업지

대상품종

신규사업지

대상품종

남해군

갑오징어

신안군

조피볼락

강릉시

쥐노래미

서산시

낙지

 

< 수산자원 산란·서식장 조성사업 추진현황(누적) >

(15) 6개소 → (18) 10개소 → (20) 14개소 → (22) 29개소

 

  해양수산부는 산란·서식장 조성사업에 대한 어업인의 높은 호응을 반영하여 2024년도 사업예산을 대폭 증가할 계획이다.

 

  아울러바다숲 및 산란·서식장 조성의 차질없는 추진과 수산자원의 조성부터 관리까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해양수산부와 지자체어업인으로 “수산자원 조성 상생협의체(가칭)”를 구성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임태호 해양수산부 수산자원정책과장은 “지속 가능한 수산업을 위해서는 수산자원이 잘 살 수 있는 환경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면서 “우리 어촌이 더 풍요로울 수 있도록 산란·서식장 조성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해양수산부, 2023.01.05)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46504&pageIndex=2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1-01&endDate=2023-01-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241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7개국 공무원 대상 온실가스 전문가 교육 개최 총괄관리자 2025-07-14 50
3240 폭염 시 2시간 마다 20분 휴식 보장한다 총괄관리자 2025-07-14 51
3239 관계부처 합동 「RE100 산업단지 추진 TF」 발족 총괄관리자 2025-07-14 49
3238 탄소무역장벽 대응 지원을 위한기업 현장 소통 강화 총괄관리자 2025-07-14 51
3237 임금체불에 특히 취약한 10대 건설기업 대상 노동·산재·외국인 「통합감독」 착수 총괄관리자 2025-07-14 45
3236 고용노동부, 혹서기 폭염 및 질식 재해 취약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 총괄관리자 2025-07-14 32
3235 천 맨홀 질식사고 강도높은 수사, 질식재해 고위험사업장 집중 점검 본격 착수 총괄관리자 2025-07-14 27
3234 폭염에 취약한 근로 현장의 안전, 정부가 꼼꼼히 챙긴다 총괄관리자 2025-07-14 25
3233 기후변화에 강한 항만, 아세안과 함께 만든다 총괄관리자 2025-07-14 24
3232 탄소감축 투자 기업에 1,521억 원 융자 지원, 산업 그린전환(GX)의 마중물 되다! 총괄관리자 2025-07-14 27
3231 아라온호, 기후위기 최전선 '북극해'로 출항 총괄관리자 2025-07-14 9
3230 산업 그린전환(GX)의 핵심, 순환경제의 미래를 만나다 총괄관리자 2025-07-14 8
3229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전환을 위한 AI 활용 방안 논의 총괄관리자 2025-07-14 9
3228 다가오는 탄소발자국 규제,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으로 뛰어넘는다 총괄관리자 2025-07-14 9
3227 한국형 기업 재난관리체계로 재난·사고에 강한 기업 만든다 총괄관리자 2025-07-14 6
3226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특화 '한국형 위험평가 체계' 도입 총괄관리자 2025-07-14 6
3225 2025년 2분기 신규화학물질 51종 유해성·위험성 공표 총괄관리자 2025-07-14 7
3224 산업재해 예방에 현장 근로자 참여 강화 한다 총괄관리자 2025-07-14 5
3223 니토덴코 관련 이의신청사건, 조정절차 진행 결정 총괄관리자 2025-07-14 4
3222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이행현황, 국민과 함께 공유한다 총괄관리자 2025-07-14 5